0003365584_001_20251031203413498.jpg?type=w800

젠슨 황 엔비디아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정부의 중국 판매 금지 조치에 대해 “미국이 중국 시장에 기술을 공급하는 것은 미국의 이익에도 부합한다”며 “언젠가 이 상황이 바뀌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젠슨 황 CEO는 31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의 마지막 연설 주자로 나선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CEO 서밋 참석차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1일 경북 경주시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경주=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가 중국을 압박하기 위해 엔비디아 칩 판매를 금지하면서 곤혹스러운 상황에 놓여있다.

황 CEO는 중국에서 AI 연구가 활발한 점을 예로 들며 중국의 AI 기술 개발이 막을 수 없는 흐름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세계 오픈소스 AI의 상당 부분이 중국에서 개발되고 있고 중국 AI 연구자들은 딥시크 같은 놀라운 성과를 오픈소스 형태로 내놓고 있다“며 ”중국은 단순히 규모만이 아니라 역동성과 개방성 때문에 대체 불가능하고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미국이 중국에 기술을 공급하는 것은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며 중국이 미국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도 중국에 이익이 된다“며 ”정책 결정자들이 이 점을 인식해 양국의 균형점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CEO 서밋 참석차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1일 경북 경주시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경주=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황 CEO는 “현재 엔비디아 매출에서 중국 비중은 0%”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는 향후 몇 년간 여전히 큰 폭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