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2548599_001_20251028113621507.jpg?type=w800

민관학 참여하는 ‘우주산업 발전협의체’ 출범
‘서울창업허브 구로’에 ‘서울 테크 스페이스’ 조성


서울 테크 스페이스 조감도.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우주산업의 핵심은 수많은 위성 데이터의 활용이며 서울은 위성 빅데이터와 AI가 결합한 혁신 서비스의 최적 테스트베드가 될 것입니다.”< 박재필 나라스페이스 대표>

서울에서 출발한 스타트업들이 우주를 향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큐브위성을 제작·운용하는 ‘나라스페이스’는 2023년 국내 최초 상업용 지구관측 큐브위성 ‘옵저버 1A호’ 발사에 성공하며 민간 우주기업 시대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 기업은 2022년 서울시 창업기업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성장해 올해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이다.

서울시가 이러한 민간의 기술혁신 흐름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시 우주산업 육성계획’을 공식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시는 28일 민간기업, 학계,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우주산업 발전협의체’를 출범하고 서울형 도시 기반 우주산업 전략 논의를 본격화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협의체 출범을 우주산업을 미래 핵심 산업으로 공식 편입하는 첫 단계로 삼고 오는 2030년까지 단계별 실행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그간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맞춰 바이오(2017), 뷰티·핀테크(2021), 로봇·양자·창조산업(2023) 등 미래산업 비전을 지속 제시하며 민간 혁신을 뒷받침해 왔다. 이번 우주산업 육성계획은 AI·바이오·로봇·반도체 등 첨단기술과 데이터 기반 산업 생태계를 바탕으로 민간 주도의 도시형 우주 경제로 도약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현재 미국(워싱턴·휴스턴), 중국(베이징·상하이), 일본(도쿄), 유럽(파리) 등 주요 도시들은 데이터 활용, AI 결합, 위성 기반 서비스 확대 등 민간 협력을 바탕으로 도시 단위의 우주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4년 우주항공청 출범을 계기로 세계 5대 우주강국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 11월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를 통해 기업의 첨단부품 탑재와 우주환경 시험이 본격화되는 등 민간 참여 기반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기립하고 있다.[우주항공청 제공]


이러한 글로벌 및 국가적 흐름 속에서 서울은 ‘데이터 기반 도시형 우주경제’로 전환을 목표로 첨단기술 융합 역량과 민간 혁신 생태계를 중심으로 새로운 우주산업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현재 국내 우주산업 기업 469개 중 150개(32%)가 서울에 있다. 이 중 71%는 위성데이터 활용, 20%는 파생산업, 9%는 위성체·발사체 제작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는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산·학·연·관 협력 기반의 민간주도형 생태계를 구축하고 ▷우주산업 인프라 조성 ▷우주기업 성장지원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3대 중점 분야로 추진해 ‘뉴스페이스 시대 글로벌 우주산업 중심도시 서울’을 구현할 계획이다.

먼저, 구로구 고척동에 조성 예정인 ‘서울창업허브 구로’를 첨단제조·창업지원 기능을 기반으로 한 미래산업 집적공간 ‘서울 테크 스페이스’로 조성한다. 서울 테크 스페이스에는 우주산업 등 첨단산업 검증이 필요한 시설이 마련돼 연구개발부터 시제품 제작, 시험·검증, 사업화까지 전주기 지원이 가능한 복합 혁신 거점으로 운영된다.

아울러, 54개의 대학과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우수한 인력이 집중된 서울의 특성을 활용해 산업현장 수요에 맞춘 실무형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서울은 국내 주요 대학과 연구기관, 혁신기업이 집적된 도시로 우수한 인재와 첨단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데이터 기반 도시형 우주산업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며 “앞으로 협의체 운영을 통해 데이터·서비스 중심의 민간 주도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기업과 인재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우주 경제 도시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