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086921_001_20251025143412304.png?type=w800

네이버웹툰 홈페이지 [사진 네이버웹툰]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온라인 불법 웹툰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2년 간 80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웹툰 관련 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지난 2022년부터 2년 간 온라인 불법 웹툰으로 인한 피해 금액은 84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웹툰 산업 전체 규모인 2조1890억 원의 20%에 달하는 규모다.

국내 주요 불법 웹툰 사이트로 알려진 ‘뉴토끼’ 등의 트래픽 분석 결과 지난해 한 동안 조회수가 42억9309만 회를 기록했으며 순 방문자 수는 4억8905만 명으로 집계됐다.

불법 웹툰이 만연한 이유로는 이용자들의 인식이 주된 이유로 꼽혔다. 콘텐츠진흥원이 실시한 ‘2024 웹툰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불법 웹툰을 이용하는 이유로 ‘유료 결제 비용 부담’이 32.8%를 기록했으며, ‘유료 결제 가치가 없다’는 응답이 12.2%에 달했다.

한국저작권보호원은 지난해 17억 원을 들여 ‘저작권 인식 개선’을 위해 나섰으나 불법 이용률은 여전히 감소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박 의원은 “창작물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은 인식이 사회 전반에 퍼져 있다”며 “불법 복제는 범죄이자 타인의 노동을 훔치는 행위라는 점을 분명히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불법 복제가 확산하는 현실은 국가의 저작권 보호 체계가 큰 허점을 드러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창작자의 정당한 권리가 존중받고 산업이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곧 ‘K-콘텐츠 300조 시대’로 가는 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