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설은 최근 경기도 용인시 죽전에 국내 최대 규모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인 '용인 죽전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를 준공했다고 오늘(24일) 밝혔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퍼시픽자산운용이 발주하고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와 신한금융투자가 공동 투자한 1조3천억원 규모 사업입니다.
연면적 9만9,125㎡(약 3만평)부지에 데이터센터 2개 동과 부속시설이 조성됐습니다.
센터는 IT 로드(데이터센터 안에서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를 IT 본연 기능 수행에 쓰는 전력) 64㎿(메가와트)와 수전 용량 100㎿의 전력 인프라를 갖췄습니다.
이는 약 16만∼20만 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으로, 클라우드·인터넷·정보통신 등 고성능 컴퓨팅 수요가 급증하는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10kW(킬로와트) 이상 고밀도 운용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됐습니다.
또한 특정 통신사업자에 종속되지 않는 망 중립 구조로 구축돼 다양한 글로벌 사업자의 트래픽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개방형 데이터 기반시설을 구축했습니다.
현대건설은 2022년 3월 착공 이후 약 43개월 만에 공사를 완료했습니다.
현대건설은 "첨단 설비 제어 기술과 에너지 절감형 운영 시스템으로 센터의 에너지 효율과 운영 안정성을 높였고, 고효율 냉방시스템과 프리쿨링 기술,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지표(PUE 1.3)를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제 인증 기준인 ‘티어Ⅲ(Tier 3) 이상’ 수준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충족해 24시간 무중단 운영이 가능하며, 센터 내 핵심 구간에 비상발전기, 무정전 전원장치(UPS), 냉동기 등이 이중·삼중화돼 한쪽 라인이 멈춰도 다른 라인이 즉시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운영체계를 갖췄습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죽전 데이터센터 준공은 디지털 산업 고도화 속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프라 구축 역량을 입증한 사례"라며 "수도권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디지털 인프라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인공지능(AI)·클라우드 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친환경 데이터센터 모델을 지속 개발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현대건설은 2004년 금융결제원 분당센터를 시작으로 KT목동 IDC,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K스퀘어데이터센터 가산 등 국내 건설사 중 가장 많은 데이터센터를 시공했습니다.
향후 지역별 에너지원 특성에 맞춘 친환경·SMR(소형모듈원전) 연계형 데이터센터 모델 개발을 통해 AI시대 핵심 기반시설 구축과 에너지 혁신을 동시에 실현해 나갈 계획입니다.
#현대건설 #데이터센터 #AI #인공지능 #건설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