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법인카드 및 연구비카드가 유흥비 결제, 허위 회의록 조작, 상품권깡 등으로 부정 사용된 사례가 연이어 적발돼 관리·감독 체계 부실 논란이 일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이 최근 2년간 두 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GIST에서는 법인·연구비카드 부정사용 사례가 91건 적발됐으며, KAIST에서는 법인카드 19개를 이용해 110억 원 이상을 결제한 연구원 등에 대한 특별조사가 진행 중이다.

0006141513_001_20251019101508142.jpg?type=w860
최근 2 년간 광주과학기술원 (GIST) 과 한국과학기술원 (KAIST) 법인 · 연구비 카드 부정사용 현황 보고. 출처=최민희 의원실GIST, 회의록 조작·유흥비 결제까지…부정사용자 5명 중 4명 해임 후 수사

GIST는 지난해 7월 실시한 특별감사에서 연구비카드를 사적으로 사용하거나 유흥성 비용을 집행한 연구원 5명을 적발했다.

부정사용 금액은 총 1258만 5420원이었다.

이 중 사적 사용을 반복한 4명은 해임 후 경찰 수사를 받고 있으며, 유흥비를 결제한 1명은 감봉 처분을 받았다.

적발자들은 출장 또는 휴가 중인 직원의 이름을 회의록에 기재하거나, 동일 시간대 다른 회의에 참석 중인 인원을 중복 입력하는 방식으로 기록을 조작했다. 일부는 부하 직원에게 허위 회의록 작성을 지시한 사실도 드러났다.

KAIST, 법인카드 19개로 110억 원 ‘돌려막기’…상품권깡 수천 건 의혹

KAIST에서도 지난해 12월 이후 법인카드 부정사용과 관련한 특별감사가 진행 중이다. 한 연구원은 2022년 4월부터 올해 8월까지 법인카드 19개를 사용해 약 6500건, 총 110억 원 규모를 결제했으며, 이 과정에서 이른바 ‘상품권깡’ 방식이 활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KAIST는 약 9억 원 상당의 미납 카드대금을 선납한 뒤 현재 구상권 청구 등 법적 조치에 착수한 상태다.

자료에 따르면 최근 2년 동안 부정사용은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적발됐다.

KAIST에서는 2024년 12월과 2025년 6월 두 차례에 걸쳐 법인카드 사적 사용이 확인됐으며, 일부는 혐의없음으로 종결됐지만 최근 적발된 사례는 수사 중이다.

반면 GIST는 2024년 7월 하루에만 4건의 부정사용이 중징계 또는 수사의뢰 조치로 이어졌으며, 금액은 각각 297만8900원, 152만7300원, 583만4400원, 145만3700원 등이다.

또 79만1120원을 부정사용한 사례는 경징계로 마무리됐다.

최민희 위원장은 “과기원에서 법인카드가 ‘개인지갑’처럼 쓰였다는 것은 충격적인 일”이라며 “이것은 일부 연구원의 일탈이 아니라, 과기원 내부와 과기부의 감독 부실이 맞물린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GIST에서 유사 사례가 반복된 만큼 총장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며 “향후 과기원 전체의 카드 사용 매뉴얼을 전면 재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