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2988744_001_20251022181410403.jpg?type=w800

AI 증강개발 기술 기반…금융권 공급 확대
인스웨이브가 금융 특화 AI 플랫폼을 통해 에이전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인스웨이브 제공

인스웨이브가 국내 주요 금융기관의 통합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프레임워크 구축 사업을 잇따라 수주하며 관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지켰다.

인스웨이브는 인공지능(AI) 에이전트 및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웹톱’을 통해 금융권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다고 22일 밝혔다.

웹톱은 AI 증강개발 기술을 갖춘 금융 단말 플랫폼으로 LLM 기반 차세대 AI 증강개발 기능을 제공한다. 금융권 업무 정보 공유와 대고객 영업 업무에 활용되는 단말 시스템 개발 생산성을 크게 높인다. 신뢰성 있는 운영 환경도 조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보안도 강화했다. 금융권에서 요구하는 방화벽과 보안 키보드 등 기존 보안 솔루션과 완벽하게 연동된다. 특히 폐쇄망에서도 운용할 수 있는 자체 프라이빗 LLM 엔진 ‘딥스퀘어’를 탑재해 보안성과 AI 자동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은행·카드사·보험사 등 전 금융권으로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KB국민카드, IBK기업은행, 부산·광주·전북·경남은행, iM뱅크 등 다양한 금융기관에서 통합단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국내 최대 규모의 레퍼런스를 확보했다. 최근 NH농협은행과 우리카드의 공급 파트너로 선정되는 성과도 보였다.

인스웨이브 관계자는 “금융권 단말 UI 표준화와 AI 기반 자동화를 하나로 결합한 혁신 플랫폼으로 기술 개념검증(PoC)과 다수의 실증 프로젝트를 하는 성과를 나타냈다”며 “앞으로 차세대 금융 플랫폼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