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한국과학기술원)은 이의진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IoT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면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정신 건강 상태를 더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IoT 데이터는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행동 패턴을 지속해서 포착할 수 있어 기존 수집 방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특정 생활 패턴이 정신 건강 문제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우선 매일매일 생활 패턴의 변화가 큰 사람일수록 우울과 불안, 스트레스 점수가 월등히 높았다. 연구팀은 “이는 특정 활동의 ‘양’을 추적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패턴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것이 정신 건강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냉장고 사용 횟수도 정신 건강과 관련이 있었다. 스트레스가 많을 때 냉장고 사용 횟수가 늘어나는 ‘폭식형’ 생활 패턴을 보이거나, 우울 위험이 높을 때 냉장고 사용 횟수가 줄어드는 ‘무기력형’ 패턴을 보이는 경우다.
연구팀은 청년층 1인 가구 20세대를 대상으로 4주간 실증 연구를 진행했다. 가정 내 가전제품(냉장고, 전자레인지 등)과 피실험자가 실내에서 움직이고 잠자는 공간(현관문, 책상, 수면 매트 등)에 IoT 센서를 설치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신 건강 상태와 상관관계를 계산했다. 이의진 교수는 “향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맞춤형 코치가 가능한 원격 의료 시스템 개발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