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풀스택은 △생성형 AI 모델 △데이터 관리 △클라우드 인프라 △응용 서비스 등 AI 개발 전 과정을 아우르는 역량을 말한다. 단순히 AI 모델을 도입하는 것이 아닌 모델을 학습시키고 기업 데이터와 결합해 업무에 맞게 최적화하며 보안과 운영까지 책임질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핵심이다.
스타게이트 참여하고 기업용 챗GPT도 공급
삼성SDS는 올해 10월1일 오픈AI와 포괄적인 파트너십에 대한 LOI(Letter of Intent)를 맺었다. LOI는 기업들이 정식 계약 이전 단계에서 상호 협력 의지를 공식화하는 문서다. 이번 LOI에는 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중공업 등 그룹 계열사들도 참여했다. 두 번째 협력 방안은 삼성SDS가 오픈AI의 '기업용 챗GPT(Chat-GPT Enterprise)'를 기업 고객들에게 서비스하는 것이다. 삼성SDS는 제조·금융·제조·공공기관 등의 업무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한 경험을 보유했다. 기술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종의 업무를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포진해있다. 기업용 챗GPT를 한국의 각 산업 환경에 최적화해 공급할 역량을 갖췄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통해 고도화된 기업용 챗GPT를 한국 기업들이 잘 쓰도록 만드는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삼성SDS의 이러한 역할은 세 번째 협력 방안인 리셀러(Reseller)로 이어진다. 다양한 업종 및 기업들이 기업용 챗GPT를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오픈AI는 삼성SDS를 통해 한국의 기업 시장에 보다 쉽게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삼성SDS 업무 전문성에 오픈AI 모델 더한다
삼성SDS는 AI 풀스택 관점에서 AI 시장을 △MSP(Managed Service Provider) △플랫폼 △인프라 등으로 바라보고 있다. AI MSP는 기업을 대신해 AI 인프라 구축부터 모델 적용·운영·보안까지 통합 관리해주는 AI 운영 대행사다. 삼성SDS가 오픈AI와 손을 잡으면 GPT4나 GPT5 등 최신 AI 모델을 기업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게 된다. 삼성SDS는 다양한 시스템통합(SI) 및 시스템운영·유지보수(SM) 프로젝트를 경험했다. 기업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접근을 제어하고 비식별화하며 로그를 관리할 수 있는 기술력을 쌓았다. 오픈AI의 AI 모델도 보안의 틀 안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할 수 있다.그간 기업들의 AI 도입은 특정 부서나 업무단위의 기술검증(PoC)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삼성SDS가 오픈AI 모델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되면 △AI 문서 요약·보고 자동화 △제조·물류 자동화 △금융 심사 등 전사 단위로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
삼성SDS는 인프라 역량도 갖췄다. 자사의 삼성클라우드플랫폼(SCP) 위에서 오픈AI의 GPT뿐만 아니라 다양한 AI 모델들을 구동시키며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이호준 삼성SDS 클라우드서비스사업부장 부사장은 10월30일 진행된 올해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당사는 AI 시장에서 AI 풀스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회사는 올해 클라우드 매출의 목표를 2조원 후반대로 삼고 있다. 2024년 클라우드 매출은 약 2조3000억원이었다.
한편 삼성SDS는 올해 3분기에 연결기준 매출 3조 3913억원, 영업이익 232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 8.1% 감소했다. 같은기간 당기순이익은 8.2% 증가한 2011억원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