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3939666_001_20251108004518518.jpg?type=w800

주총서 ‘조건부 보상안’ 통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AFP 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최대 1조달러(약 1450조원)에 달하는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안건이 6일(현지 시각) 테슬라 주주총회에서 통과됐다. 우리 정부 내년 예산안(총지출 728조원)의 2배에 달하는 규모로, 세계 기업 역사상 유례 없는 액수의 보상안이다.

이번 보상안은 총 12단계의 시가총액과 경영 성과 목표 달성을 조건으로 담고 있다. 머스크가 단계별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테슬라 전체 보통주의 1%씩 지급받는 구조다. 예컨대 1단계 목표는 현재 1조5000억달러 규모인 시가총액을 2조달러로 끌어올리고, 테슬라 차량 2000만대를 인도하는 것이다. 2단계는 시가총액 2조5000억달러와 FSD(자율 주행) 소프트웨어 구독 1000만건 달성이다. 이런 식으로 2035년까지 시가총액을 8조5000억달러로 끌어올리고 휴머노이드 로봇 100만대 배치, 로보(무인)택시 100만대 상업 운행,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4000억달러 등 총 12단계 목표를 모두 이뤄내야 한다.

보상안에 대해 노르웨이 국부펀드 등 일부 기관이 반대했지만, 개인 투자자 등이 대거 머스크 편에 서면서 주주 75% 이상의 찬성을 받고 통과됐다. 주총 표결이 나온 후 테슬라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2% 넘게 반등했다.

보상안대로 실현되면 현재 13% 정도인 머스크의 테슬라 지분율은 25% 이상으로 뛰어오른다. 머스크는 이날 주총에서 테슬라 차세대 인공지능 칩을 한국의 삼성전자 공장, TSMC의 대만·텍사스·애리조나 공장에서 생산한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내가 고민 중인 것 중 하나는, 어떻게 하면 충분한 칩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이라며 자체 칩 생산 시설 건설도 검토 중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