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2988208_001_20251021060813698.png?type=w800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수요 폭증으로 메모리 가격이 꾸준하게 오르면서 반도체 업계가 슈퍼사이클을 맞고 있다.

메모리 공급 부족 문제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국내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4분기 실적 전망도 청신호가 켜졌다.

21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D램 범용 제품 DDR4 8Gb(기가비트)의 현물 가격은 지난 20일 오전 기준 평균 8.049달러까지 오르면서 지난 17일 대비 1.5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D램가격은 최근 꾸준히 상승세를 기록하면서 과거 반도체 슈퍼사이클 수준까지 치솟고 있다.

PC향 범용제품 DDR4 8Gb의 고정거래가격은 9월 말 6.3달러를 기록하며 올해 4월부터 두 자릿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2019년 1월 이후 약 6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 2016~2018년 메모리 슈퍼 사이클 당시 해당 제품의 고정거래가격은 6달러 후반~8달러 초반 수준이었다.

가격 상승 배경으로는 AI 데이터센터 투자가 늘면서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크게 늘어난데다 범용 D램 수요 역시 견조하기 때문이다. 엔비디아가 지난달 공개한 제품 역시 HBM이 아닌 범용 D램을 사용하기로 하는 등 메모리 생산 기업은 한정적인데 반해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랜드포스는 ”D램 가격은 4분기에도 계속 상승할 것“이라며 ”서버 수요가 급증하면서 레거시 프로세스 제품은 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업계에 호황 조짐이 관측되면서 과거보다 호황이 더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과거에는 1~2년 정도의 호황 이후 침체기가 반복되던 식이었다면 이번에는 2년 이상 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근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이번 메모리 슈퍼사이클이 2027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기존의 재고 조정 중심 경기순환형 사이클이 아니라, 구조적인 수요 기반의 장기 성장 국면”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4분기 실적 전망 역시 밝다.

시장조사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각각 12조1317억원, 12조4954억원으로 예측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각각 86.85%, 54.59% 늘어난 것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반도체 실적이 반등하면서 3분기 영업이익 12조원을 달성하며 ‘깜짝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실적 전망과 관련해 “AI 접목으로 메모리 수급이 예상보다 타이트해지며 가격 상승과 수익성 개선이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메모리 가격이 급등하면서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2년 이상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삼성전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