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3672635_001_20251106194312606.jpg?type=w800

경기도 화성 내 첫 스마트 의료 구축
환자 주요 생체신호 원격 확인
생체신호 데이터 AI 수집·분석
AI 기반 임상 정확도↑
대웅제약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를 도입한 동탄시티병원에서 대웅제약과 씨어스테크놀로지 임직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대웅제약은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thynC)’를 동탄시티병원 전 병상에 적용해 인공지능(AI) 기반 의료 환경을 구축했다고 6일 밝혔다. 씽크가 적용된 동탄시티병원은 지난달 스마트 병동 기공식을 열었다.

씽크는 대웅제약과 씨어스테크놀로지가 협력해 전개 중인 스마트 의료 체계다. 환자에게 부착된 웨어러블 센서를 통해 심박수와 호흡, 체온, 산호포화도, 심전도 등 주요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방식이다. 이상 징후가 포착되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람이 전송돼 응급 상황 시에도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야간이나 격리병실 등 의료진 상시 관찰이 제한되는 환경에서도 간편하게 환자 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환자에게는 안정적인 치료 환경을 제공하면서 보호자 간병 부담 완화까지 기대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이번 동탄시티병원 도입은 경기도 화성시 내에서 처음으로 구축된 AI 스마트 병동으로 의미가 있다. 동탄시티병원은 환자 안전성 증진과 의료진 업무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전 병상(90병상)에 싱크를 도입하기로 했다.

특히 씽크는 낙상 감지 센서와 전자의무기록(득) 연동 기능도 갖춰 예기치 못한 사고 예방에도 유용하다고 대웅제약 측은 설명했다. 활력징후 기록이 EMR에 자동 반영돼 의료진의 단순 반복 수기 입력 업무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 맞춤 간호와 진료에 집중할 수 있다. 여기에 AI가 수집해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임상 판단도 가능해 전반적인 의료 서비스 품질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한다.
대웅제약 씽크 모니터가 설치된 동탄시티병원 병동싱크를 도입한 동탄시티병원은 이를 계기로 지역 의료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병원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이달 신관 정식 개원을 앞두고 AI 영상진단센터 설립과 병상 규모 확대(90→180병상)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미영 동탄시티병원 행정원장은 “씽크를 도입한 AI 스마트 병동은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동탄시티병원의 가치가 담긴 프로젝트”라며 “의료진과 보호자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병동 환경을 구축하고 지역 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전했다.

조병하 대웅제약 디지털헬스케어 사업부장은 “동탄시티병원은 화성·동탄 지역 대표 의료기관으로 씽크 도입을 통해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 의료 서비스를 구현하는 첫 걸음을 내디뎠다”며 “대웅제약은 동탄시티병원과 협력해 지역 의료의 질을 높이고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동탄시티병원은 지역사회 거점 병원으로 척추·관절을 비롯한 다양한 진료과 협진을 통해 환자 맞춤형 통합 진료체계를 가동 중이다. 지역 주민들이 더욱 쉽고 효과적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 구축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