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1351473_001_20251031125612649.jpg?type=w800

예금은행 9월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 연 2.52%
전체 은행권 대출금리는 4.03%로 0.03%P 내려
31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예금금리가 1년 만에 처음으로 전월보다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9월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52%로 8월(2.49%)보다 0.03%포인트(P) 높았다. 지난해 10월 이후 1년 만의 반등이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2.52%)와 금융채·CD(양도성예금증서) 등 시장형 금융상품 금리(2.54%)가 각 0.04%P, 0.02%P 올랐다.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17%로 전월과 같았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역시 3.96%에서 변화가 없었고, 전세자금 대출(3.76%)과 일반 신용대출(5.31%)은 각 0.02%P, 0.10%P 내렸다. 각 4개월, 3개월 만의 하락 전환이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표금리인 은행채 금리는 9월 중 올랐지만, 일부 은행이 8∼9월 가산금리를 낮추고 우대금리를 확대하면서 전세자금대출과 신용대출의 금리가 떨어졌다”며 “전체 가계대출 금리의 경우 금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일반 신용대출의 비중이 커지면서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9월 기업 대출 금리(3.99%)는 0.04%P 내려 넉 달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대기업(3.91%)과 중소기업(4.05%) 대출 금리가 0.08%P, 0.01%P씩 낮아졌다. 시장 금리 상승에도 낮은 금리의 정책 금융이 확대된 영향이다. 가계와 기업을 통틀어 전체 은행권 대출금리도 4.03%로 0.03%P 내렸다.

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 즉 예대금리차는 1.51%P로 0.06%P 줄었다. 예대금리차가 축소된 것은 지난 7월 이후 3개월 만이다. 다만 신규 취급 기준이 아닌 잔액 기준 예대 금리차는 2.19%P에서 변화가 없었다.

은행 외 금융기관들의 예금 금리(1년 만기 정기 예금·예탁금 기준)는 상호저축은행(2.98%), 신용협동조합(2.78%), 상호금융(2.63%), 새마을금고(2.76%)에서 각 0.01%P, 0.05%P, 0.01%P, 0.04%P 하락했다. 대출금리 역시 상호저축은행(9.19%·-0.20%P), 신용협동조합(4.61%·-0.19%P), 상호금융(4.44%·-0.10%P), 새마을금고(4.10%·-0.20%P)에서 모두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