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H2025102811040006100_P4_20251029120041701.jpg?type=w800

매출증가율 3.7%·영업이익률 4.6%…이자보장비율 100%미만 42.8%
한은 "반도체 등 일부 업종과 대기업 중심 지표 개선"


작년 기업 성장·수익 개선됐지만…이자도 못버는 기업비율 최고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2025.10.28 xanadu@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지난해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로 지표상 국내 기업들의 평균 성장·수익·안정성은 모두 개선됐지만, 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의 비율이 최고 수준에 이르는 등 '양극화' 양상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29일 공개한 '2024년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산업 96만1천336개(제조업 18만6천490개·비제조업 77만4천846개)의 연간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 늘었다. 전년 역성장(-1.5%)에서 벗어나 반등에 성공했다.

제조업(-2.3%→4.6%)과 비제조업(-0.9%→2.9%)의 매출 증가율이 모두 높아졌고, 특히 제조업 가운데 전자·영상·통신장비(-14.5%→19.6%)의 상승 폭이 컸다.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라 수출 단가가 높아지고 물량도 늘어난 영향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운수·창고(-9.0%→11.6%), 도소매(-2.1%→2.9%)의 매출 증가율이 뚜렷하게 뛰었다.

2024년 국내 비금융 영리법인기업 성장·수익·안정성 지표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익성 지표도 전반적으로 좋아졌다.

전체 조사 대상 기업의 지난해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4.6%)은 전년(3.5%)보다 1.1%포인트(p) 올랐다. 세전 순이익률(4.3%) 역시 1년 사이 0.5%p 높아졌다.

제조업(3.3%→5.1%)과 비제조업(3.7%→4.1%)의 영업이익률이 동반 상승했다. 전자·영상·통신장비(-3.0%→8.3%)는 AI 서버용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증가와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전기가스(0.7%→6.7%)는 전기요금 인상과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3.7%→5.6%)은 올랐지만, 중소기업(3.2%→3.0%)은 오히려 떨어졌다.

재무 안정성 지표를 보면, 전체 기업의 부채 비율(119.9%)과 차입금 의존도(31.0%)가 전년(120.8%·25.1%)보다 떨어졌다.

하지만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 기업의 42.3%에서 42.8%로 높아졌다. 200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 기록이다.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밑도는 것은 연간 이익이 이자 등 금융비용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뜻이다.

문상윤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 확대와 관련해 "전체 기업의 지표가 개선됐지만, 세부적으로는 반도체 중심의 일부 업종과 대기업 중심으로 좋아진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다만 무차입 기업까지 모두 통계에 반영하면,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의 비중은 21.3%로 전년(21.4%)보다 떨어졌다"고 덧붙였다.

이자보상비율 100%미만 기업 비중 추이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hk99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