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1076314_001_20251028224112828.jpg?type=w800



마인드로직이 탁월한 비용 절감 효과로 AI 활용 장벽을 낮추는 팩트챗을 서울대를 포함한 주요 교육 기관에 제공하며 교육계의 AI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공지능 스타트업 마인드로직(공동대표 김용우, 김진욱)은 자사 생성형 AI 플랫폼 ‘팩트챗(FactChat)’이 서울대 등 국내 19개 대학에 잇따라 도입되며 대학가 AI 인프라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28일 알렸다.

팩트챗은 대학∙공공기관 등 조직 단위에서 다수의 구성원이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의 생성형 AI 플랫폼이다. 해외 유료 구독형 AI 서비스 대비 최대 90% 이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올해 3월 출시 직후 서울대·서강대·숭실대 등 국내 주요 대학과 약 100여곳의 초·중·고등학교로 서비스를 빠르게 확대했으며 용인특례시·화순군청과 같은 지자체까지 보급 영역을 넓혔다.

팩트챗은 비용 효율성과 관리의 편의성, 다양한 LLM 선택 기능 등으로 대학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 학생들 사이에서도 비용 부담 없이 다양한 생성형 AI를 24시간 언제든 활용할 수 있어 학습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서울대학교는 팩트챗을 행정 효율성 제고는 물론 연구 목적으로 적극 활용 중이다. 서강대학교는 교직원 일부를 대상으로 한 시범 운영 3주 만에 탁월한 비용 절감 효과를 확인하여 전교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 도입한 바 있다. 숭실대학교는 타 대학교 사례들을 면밀히 검토한 후 이번 학기 개강에 맞춰 팩트챗을 전면 도입함으로써 학내 모든 구성원들이 무상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팩트챗은 학생·교수·공무원 등 다양한 사용자층이 학습, 연구, 행정 등 여러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사용자는 GPT-5, 퍼플렉시티(Perplexity), 제미나이(Gemini), 클로드(Claude) 등의 최신 언어모델을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별도 설치나 복잡한 절차 없이 웹 환경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기관의 만족도를 높인 요인으로 꼽힌다.

팩트챗이 대학과 공공 분야에서 AI 활용 환경을 넓혀가고 있는 한편, 마인드로직의 또 다른 생성형 AI 서비스 ‘인포미(Informe)’는 이용자 안내와 정보 접근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인포미는 대학, 도서관 및 여러 기관의 홈페이지에서 활용되는 다국어 안내 챗봇 서비스로, 대학입시 또는 학사·시설 이용 문의 등에 실시간으로 대응한다. 기존 챗봇이 단순 메뉴형 응답에 그쳤던 것과 달리, 인포미는 자연어 기반 대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고 친근하게 제공한다. 또한, 100여 개 언어를 지원해 외국인 학생의 접근성을 높이고 음성 ARS 안내 기능을 도입해 반복적인 전화문의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인포미는 숙명여대·서울대 중앙도서관·한국산업기술진흥원을 비롯한 총 22개 대학·기관에 도입돼 운영 효율성과 이용 편의성을 개선하며 주목받고 있다. 특히, 입시철에는 입시 안내 챗봇이 쇄도하는 문의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인력 부담을 줄이며 대학가 AI 안내 챗봇의 성공적 사례로 호평받았다. 한 대학에서는 인포미 도입 1년 만에 전체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챗봇을 재사용하며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는 등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도 높다.

향후 마인드로직은 두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팩트챗은 대학생·교수·교직원 등 사용자별 맞춤형 AI 기능 추가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국내를 넘어 해외 진출을 추진 중이다. 인포미는 음성 ARS 기능을 강화해 보다 자연스러운 실시간 안내를 제공하고, 더 많은 언어로 확장할 계획이다. 또한 입학·행정처 등 기관별 활용 환경에 맞춘 기능 개선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 범위를 넓혀 나갈 방침이다.

마인드로직 김진욱 공동대표는 “AI가 교육과 행정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게 된 만큼, 각 기관이 합리적인 비용 안에서 효율적으로 최신 언어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라며, “누구나 AI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최고로 만족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