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 포 챗GPT’ 선보여
채팅방서 AI 바로 호출해
지도·쇼핑·음악 연결 한번에
쉽게 사용하는 플랫폼 변신
불만 폭주 ‘친구탭’ 연내 복귀
선톡기능 ‘카나나’는 연초에
채팅방서 AI 바로 호출해
지도·쇼핑·음악 연결 한번에
쉽게 사용하는 플랫폼 변신
불만 폭주 ‘친구탭’ 연내 복귀
선톡기능 ‘카나나’는 연초에
유용하 카카오 AI 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28일 카카오 판교 아지트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오픈AI와 공동으로 개발한 ‘챗GPT 포 카카오’를 출시했다”며 “이날부터 순차적으로 이용자에게 적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카카오톡 이용자는 별도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 없이 채팅탭 상단에 위치한 챗GPT 버튼을 클릭해 바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미 오픈AI 계정을 통해 챗GPT를 사용해오던 이용자는 기존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대화 내용도 상호 호환된다.
카카오는 연말까지 구독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카카오톡에서 챗GPT의 유료 상품인 ‘챗GPT 플러스’를 신규 구독한 이용자가 3개월차 결제를 완료하면 1개월치 구독료를 페이백(환급)받을 수 있다.
챗GPT 포 카카오는 이용자가 챗GPT 답변을 채팅방에 바로 공유하고, 채팅방 공유 기능을 통해 챗GPT로 이동해 질문을 할 수도 있도록 만든 연결성이 핵심이다. 챗GPT에서 자주 사용하는 이미지 생성 기능도 카카오톡에서 바로 실행한 후 공유할 수 있다.
유 리더는 기존 챗GPT와의 차별점에 대해 “카카오톡의 다양한 기능과 결합된 사용성, 그리고 ‘카카오 툴즈(Kakao Tools)를 활용한 액션 완료 경험”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사용자는 복잡한 메뉴 탐색이나 앱 전환 없이 원하는 작업을 한곳에서 즉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AI 에이전트 환경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 툴즈’는 여러 서비스의 연결을 담당하는 AI 에이전트다. 출시 시점에는 카카오맵, 카카오톡 예약하기, 카카오톡 선물하기, 멜론이 카카오 툴즈에 포함되며 이용자 요청에 따라 관련 서비스를 자동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합정역 근처 크로플 파는 곳 알려줘”라고 하면 카카오맵이 호출돼 구체적인 위치와 정보를 보여주고 “노래를 추천해줘”라고 하면 멜론과, “5만원대 선물을 추천해줘”라고 하면 카카오 선물하기와 연동되는 식이다.
카카오는 우선 금융·모빌리티·엔터테인먼트 등 그룹 내 주요 서비스부터 적용한 뒤 외부 서비스와 협업해 생태계를 확장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와 협업해 공공 서비스와의 연동하는 ‘AI 국민비서’ 시범 서비스도 연내 선보인다.
카카오는 이용자 개인정보 보호도 최우선으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이용자는 대화 내용 저장 여부와 AI 학습 반영 여부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이번 챗GPT 연동이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둘러싼 불만 여론을 되돌릴 분수령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달 23일 열린 이프 카카오 이후 카카오톡의 대대적 개편을 두고 이용자의 불만이 거세게 이어졌다. 특히 게시물 중심으로 바뀐 친구탭 화면이 대표적 논란이었다. 카카오는 결국 이용자 요구를 수용해 연내 기존 ‘친구 목록’을 친구탭 첫 화면으로 복원하기로 했다.
이번 챗GPT 업데이트는 그동안 진행된 탭 개편, 서비스 추가 수준과는 다르다. ‘AI 중심 슈퍼앱’ 전략이 본격적으로 이용자 경험에 적용된 첫 사례로 평가된다. 카카오가 이프 카카오에서 강조한 “AI가 5000만 국민의 일상을 바꾼다”는 메시지가 이번 서비스를 통해 국민에게 실질적으로 체감될 수 있을지가 관전 포인트다.
한편 이용자 상황과 맥락을 파악해 AI가 먼저 메시지를 보내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의 정식 서비스는 내년 시작된다. 지난 16일부터 일부 iOS 이용자를 대상으로 베타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내년 1분기에는 안드로이드로 확대된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온디바이스 AI 모델 ‘카나나 나노’를 기반으로 한다. 강지훈 카카오 AI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브리핑 대상과 에이전트 확장에 대한 니즈를 확인했다”며 “앞으로 캘린더, 친구 생일 알림, 금융·통신사 이벤트 등으로 에이전트 기능을 넓혀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