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네이버가 창출하는 소비자 후생' 보고서 발간
국내 첫 '디지털 소비자후생' 연구 결과
경기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사옥. 네이버 제공
국민 1인당 네이버 서비스가 창출하는 연간 소비자 후생이 1,500만 원에 육박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이버 전체 서비스가 제공하는 연간 총 소비자 후생도 최소 222조 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27일 네이버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국내 디지털 플랫폼의 경제적 가치와 소비자 후생을 분석한 '디지털 경제 리포트 2025: 네이버가 창출하는 소비자 후생' 보고서가 이날 발간됐다. 네이버 등 무료로 사용하는 디지털 서비스가 소비자 후생 관점에서 어느 정도 가치를 주는 지 계량해 제시한 연구는 이번이 국내에서 처음이다.
연구진은 국민 6,000명을 대상으로 검색, 지도, 메일 등 각 카테고리에 대해 10만~1,000만 원 사이 5개 보상 가격을 제시하고 "특정 금액 보상을 받고 1년 동안 해당 서비스를 포기하시겠습니까?"와 같은 질문에 대해 보상 가격을 받아들이겠다고 답한 비율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최대 수용 가능 가격(WTA)을 추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했다.
이 결과 디지털 서비스 가운데 전체 검색 서비스의 소비자 후생 가치는 참가자 1인당 1,220만 원으로 추정됐으며, 이 가운데 네이버의 기여분은 57.7%에 해당하는 704만 원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지도와 이메일의 전체 가치는 각각 857만 원, 273만 원으로 추정됐으며 네이버의 기여분은 절반 수준인 428만 원, 139만 원으로 나타났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전자상거래, 동영상, 웹툰 등 나머지 서비스 영역에서는 전체 가치가 1,047만 원으로, 네이버의 기여분은 204만 원으로 추정됐다. 각 영역을 산술적으로 더해봤을 때 네이버가 제공하는 1인당 소비자 후생 가치는 1,475만 원이다. 전체 디지털 서비스의 1인당 소비자 후생 가치의 산술적 합이 3,397만 원인 점을 감안할 때 전체의 43.4%를 네이버가 제공하는 셈이다.
'디지털 경제 리포트 2025: 네이버가 창출하는 소비자 후생' 보고서. 네이버 제공
보고서는 이 같은 네이버의 1인당 서비스의 후생 가치를 연령별 통계와 인터넷 이용자 실태 등을 이용해 국내 전체적으로 적용한 결과 네이버 검색의 총 소비자 후생 가치는 연간 222조7,000억 원, 지도는 131조5,000억 원, 메일 43조 원으로 추산했다. 다만 각각을 단순 합산하는 것은 과다 추정의 우려를 부를 수 있다며 네이버 서비스의 연간 소비자 후생 합계의 하한값을 기반 플랫폼인 검색 엔진에 대한 후생 가치인 222조 원가량으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분석했다.
연구를 이끈 안재현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장 교수는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정책은 사용자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고려하여 사회 전체의 후생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설계돼야 한다"며 "특히 검색, 지도와 같이 사회적 파급 효과가 큰 디지털 필수재에 대한 정책은 사회 후생을 고려해 더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내 첫 '디지털 소비자후생' 연구 결과
국민 1인당 네이버 서비스가 창출하는 연간 소비자 후생이 1,500만 원에 육박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이버 전체 서비스가 제공하는 연간 총 소비자 후생도 최소 222조 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27일 네이버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국내 디지털 플랫폼의 경제적 가치와 소비자 후생을 분석한 '디지털 경제 리포트 2025: 네이버가 창출하는 소비자 후생' 보고서가 이날 발간됐다. 네이버 등 무료로 사용하는 디지털 서비스가 소비자 후생 관점에서 어느 정도 가치를 주는 지 계량해 제시한 연구는 이번이 국내에서 처음이다.
연구진은 국민 6,000명을 대상으로 검색, 지도, 메일 등 각 카테고리에 대해 10만~1,000만 원 사이 5개 보상 가격을 제시하고 "특정 금액 보상을 받고 1년 동안 해당 서비스를 포기하시겠습니까?"와 같은 질문에 대해 보상 가격을 받아들이겠다고 답한 비율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최대 수용 가능 가격(WTA)을 추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했다.
이 결과 디지털 서비스 가운데 전체 검색 서비스의 소비자 후생 가치는 참가자 1인당 1,220만 원으로 추정됐으며, 이 가운데 네이버의 기여분은 57.7%에 해당하는 704만 원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지도와 이메일의 전체 가치는 각각 857만 원, 273만 원으로 추정됐으며 네이버의 기여분은 절반 수준인 428만 원, 139만 원으로 나타났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전자상거래, 동영상, 웹툰 등 나머지 서비스 영역에서는 전체 가치가 1,047만 원으로, 네이버의 기여분은 204만 원으로 추정됐다. 각 영역을 산술적으로 더해봤을 때 네이버가 제공하는 1인당 소비자 후생 가치는 1,475만 원이다. 전체 디지털 서비스의 1인당 소비자 후생 가치의 산술적 합이 3,397만 원인 점을 감안할 때 전체의 43.4%를 네이버가 제공하는 셈이다.
"네이버 전체 서비스의 연간 총 소비자 후생, 최소 222조 원"
보고서는 이 같은 네이버의 1인당 서비스의 후생 가치를 연령별 통계와 인터넷 이용자 실태 등을 이용해 국내 전체적으로 적용한 결과 네이버 검색의 총 소비자 후생 가치는 연간 222조7,000억 원, 지도는 131조5,000억 원, 메일 43조 원으로 추산했다. 다만 각각을 단순 합산하는 것은 과다 추정의 우려를 부를 수 있다며 네이버 서비스의 연간 소비자 후생 합계의 하한값을 기반 플랫폼인 검색 엔진에 대한 후생 가치인 222조 원가량으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분석했다.
연구를 이끈 안재현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장 교수는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정책은 사용자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고려하여 사회 전체의 후생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설계돼야 한다"며 "특히 검색, 지도와 같이 사회적 파급 효과가 큰 디지털 필수재에 대한 정책은 사회 후생을 고려해 더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