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4548457_001_20251028073108454.jpg?type=w800

정운성 다쏘시스템코리아 대표이사와 사성진 마이셀 대표이사, 토마스 뢴쉬 코피니티 X 대표이사가 최근 LCA·DPP 통합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다쏘시스템
[서울경제]

다쏘시스템이 바이오 스타트업 마이셀과 전과정평가(LCA)와 디지털 제품여권(DPP) 네트워크를 연계하는 사업을 수주했다고 27일 밝혔다. 유럽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DPP 요건 등을 충족해야 하는데등을 검증받아야 하는데 요건을 갖추된 것이다.

다쏘시스템은 한국 기업이 유럽 공식 LCA·DPP 네트워크에 연결된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LCA는 제품의 전체 생명주기 동안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고 관리하는 제도다. DPP는 생산·판매·폐기 등 모든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이다.

다쏘시스템은 데이터 수집과 분석·국제 표준 인증을 담당하는 트레스웍스 및 시스템 통합·글로벌 네트워크 연계를 맡는 IBCT와 전주기 서비스 체계를 구축한다.

정운성 다쏘시스템코리아 대표이사는 “이번 계약은 한국 기업들이 LCA와 DPP를 단순한 규제 대응이 아닌 전략적 경쟁력의 도구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데이터 기반 협업과 플랫폼을 통해 국내 산업이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