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네이버, 국민 전체 후생효과 222조원 추산”
“네이버 지도 428만원·메일 139만원 등 사회적 기여”
경기 분당의 네이버 사옥. 연합뉴스
네이버 등 무료로 사용하는 디지털 서비스가 소비자 후생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 가치를 주는지 계량해 제시한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나왔다.
27일 네이버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는 이날 발간한 '디지털 경제 리포트 2025: 네이버가 창출하는 소비자 후생' 보고서에서 국내 디지털 플랫폼의 경제적 가치와 소비자 후생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국민 6000여명을 대상으로 실험경제학 기법을 활용해 '소비자 잉여'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검색, 지도, 메일 등 10여개 디지털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가 누리는 가치를 측정했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각 카테고리에 대해 10만원부터 1000만원 사이 5개 보상가격을 제시하고 "특정 금액 보상을 받고 일년간 해당 서비스를 포기하시겠습니까?"와 같은 질문을 던졌다. 각 보상가격을 수용하겠다고 답한 비율을 토대로 소비자의 최대 수용 가능 가격(WTA)을 추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서비스 가운데 전체 검색 서비스의 소비자 후생 가치는 참가자 1인당 1220만원으로 추정됐다. 이 가운데 네이버의 기여분은 57.7%에 해당하는 704만원으로 파악됐다.
또 디지털 지도와 이메일의 가치는 전체적으로 각각 857만원, 273만원으로 추정됐다. 이 중 네이버의 기여분은 절반가량인 428만원, 139만으로 나타났다. 그 외 소셜미디어, 전자상거래, 동영상, 웹툰 등 나머지 서비스 영역에서는 전체적인 가치가 1047만원으로, 네이버의 기여분이 204만원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이 같은 네이버의 1인당 서비스의 후생 가치를 연령별 통계와 인터넷 이용자 실태 등을 이용해 국내 전체적으로 적용한 결과 네이버 검색의 총 소비자 후생 가치는 연간 222조7000억원, 지도는 131조5000억원, 메일 43조원으로 추산했다.
보고서는 다만 각각의 디지털 서비스의 후생가치를 단순 합산해 네이버의 전체 후생가치를 파악하는 것은 과다 추정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검색 엔진이 다른 서비스의 관문으로서 중심 역할을 하고 다른 서비스들이 상호 보완재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러면서 네이버 서비스의 연간 소비자 후생 합계의 하한값을 기반 플랫폼인 검색엔진에 대한 후생가치인 222조원 정도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네이버의 생산유발효과는 60조2100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29조 3100억 원, 고용유발효과는 20만1629명 정도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보고서는 "산업연관분석은 '생산'이라는 전통적인 측정 도구를 사용해 디지털 '기업을 '굴뚝 산업' 기업처럼 분석한 것이기에 본질적인 한계를 지닌다"며 "디지털 경제는 '소비자 잉여'를 이용해 후생 기여도를 측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장 안재현 교수는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정책은 사용자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고려해 사회 전체의 후생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설계돼야 한다"며 "특히 검색, 지도와 같이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디지털 필수재에 대한 정책은 사회 후생을 고려해 더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네이버 지도 428만원·메일 139만원 등 사회적 기여”
네이버 등 무료로 사용하는 디지털 서비스가 소비자 후생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 가치를 주는지 계량해 제시한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나왔다.
27일 네이버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는 이날 발간한 '디지털 경제 리포트 2025: 네이버가 창출하는 소비자 후생' 보고서에서 국내 디지털 플랫폼의 경제적 가치와 소비자 후생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국민 6000여명을 대상으로 실험경제학 기법을 활용해 '소비자 잉여'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검색, 지도, 메일 등 10여개 디지털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가 누리는 가치를 측정했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각 카테고리에 대해 10만원부터 1000만원 사이 5개 보상가격을 제시하고 "특정 금액 보상을 받고 일년간 해당 서비스를 포기하시겠습니까?"와 같은 질문을 던졌다. 각 보상가격을 수용하겠다고 답한 비율을 토대로 소비자의 최대 수용 가능 가격(WTA)을 추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서비스 가운데 전체 검색 서비스의 소비자 후생 가치는 참가자 1인당 1220만원으로 추정됐다. 이 가운데 네이버의 기여분은 57.7%에 해당하는 704만원으로 파악됐다.
또 디지털 지도와 이메일의 가치는 전체적으로 각각 857만원, 273만원으로 추정됐다. 이 중 네이버의 기여분은 절반가량인 428만원, 139만으로 나타났다. 그 외 소셜미디어, 전자상거래, 동영상, 웹툰 등 나머지 서비스 영역에서는 전체적인 가치가 1047만원으로, 네이버의 기여분이 204만원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이 같은 네이버의 1인당 서비스의 후생 가치를 연령별 통계와 인터넷 이용자 실태 등을 이용해 국내 전체적으로 적용한 결과 네이버 검색의 총 소비자 후생 가치는 연간 222조7000억원, 지도는 131조5000억원, 메일 43조원으로 추산했다.
보고서는 다만 각각의 디지털 서비스의 후생가치를 단순 합산해 네이버의 전체 후생가치를 파악하는 것은 과다 추정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검색 엔진이 다른 서비스의 관문으로서 중심 역할을 하고 다른 서비스들이 상호 보완재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러면서 네이버 서비스의 연간 소비자 후생 합계의 하한값을 기반 플랫폼인 검색엔진에 대한 후생가치인 222조원 정도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제시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네이버의 생산유발효과는 60조2100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29조 3100억 원, 고용유발효과는 20만1629명 정도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보고서는 "산업연관분석은 '생산'이라는 전통적인 측정 도구를 사용해 디지털 '기업을 '굴뚝 산업' 기업처럼 분석한 것이기에 본질적인 한계를 지닌다"며 "디지털 경제는 '소비자 잉여'를 이용해 후생 기여도를 측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장 안재현 교수는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정책은 사용자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고려해 사회 전체의 후생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설계돼야 한다"며 "특히 검색, 지도와 같이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디지털 필수재에 대한 정책은 사회 후생을 고려해 더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