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지도, 실내 AR 길안내·3D 랜드마크 뷰 도입
공간지능 기술로 '한국형 지도 앱' 자립 기반 강화
[서울=뉴시스] 네이버 지도 '실내 증강현실(AR) 내비게이션' (사진=네이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네이버가 증강현실(AR)과 3차원(3D)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지도 서비스를 공개했다.
구글이 수년 전 선보인 '라이브 뷰(AR 길 안내)', '이머시브 뷰(3D 기반 장소 탐색)'와 유사한 기능으로 글로벌 플랫폼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며 국내 지도 생태계 기술 자립을 강화하는 행보로 평가된다.
네이버는 최근 자사의 지도 서비스에 최근 '실내 AR 내비게이션'과 '플라잉뷰 3D' 기능을 도입했다.
실내 AR 내비게이션은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GPS) 신호가 닿지 않는 곳에서도 스마트폰 카메라만으로 이용자 위치와 방향을 인식해 AR로 길을 안내해주는 서비스다.
[서울=뉴시스] 네이버 지도 '실내 증강현실(AR) 내비게이션' (영상=네이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카메라로 주변을 스캔하면 목적지까지 이동 방향이 현실 공간 위에 직관적으로 표시돼 대형 복합시설과 같이 복잡한 실내에서도 길을 헤매지 않고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기능은 3D 공간 정보를 구축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카메라 영상만으로 위치를 인식하는 AI 비전 측위 기술이 결합돼 가능했다.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이용자의 위치와 바라보는 방향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파악해 실내에서도 정확한 길 안내를 제공한다.
실내 AR 내비게이션은 코엑스에서 우선 제공한다. 네이버 지도는 코엑스를 시작으로 강남역, 인천국제공항, 롯데월드 잠실·부산점 등 유동 인구가 많고 복잡한 복합 공간을 중심으로 대상 시설을 순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뉴시스] 네이버 지도 '플라잉뷰 3D' (영상=네이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플라잉뷰 3D는 특정 장소를 입체적으로 구현한 기능으로 경주 첨성대, 서울 코엑스,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 전주 한옥마을, 부산 벡스코 등 국내 주요 명소 10곳에서 먼저 제공된다.
네이버랩스의 '노블뷰 신세시시스(NVS)' 기술이 적용돼 실제 촬영 없이도 다양한 각도에서 본 듯한 3D 영상을 생성한다. NVS 기술은 이미지 학습만으로 3D 공간을 구성하고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듯한 영상을 생성하는 3D 비전 기술이다. 드론으로 촬영한 고해상도 항공 이미지와 네이버랩스 자체개발 매핑 장비 'P1'으로 촬영한 거리뷰 3D 이미지를 결합했다.
[서울=뉴시스] 여행 유튜버 '빠니보틀(본명 박재한)'이 지난 3월 싱가포르에 위치한 구글 아시아태평양 본사 방문 후 구글 지도 '라이브 뷰'를 활용해 길을 찾는 모습 (사진=빠니보틀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AR, 3D 기반 지도 서비스를 선보인 건 구글, 애플 등 글로벌 기업이 주였으며 국내 플랫폼사 중에서는 네이버가 최초다.
대표적으로 구글은 2019년 AR 기반 장소 탐색 '라이브 뷰'와 2023년 '이머시브 뷰'를 지도 서비스에 적용했다. 한국 정부에 고정밀 지도 반출을 신청한 구글은 올 초 국내 한 여행 유튜버의 싱가포르 여행 콘텐츠를 통해 두 기능을 구글 지도 강점으로 소개하며 정밀 지도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네이버의 이번 기능 도입은 국내에서 지도 반출 논의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한국 기술력으로 대응한 전략적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네이버는 '플라잉뷰 3D'를 발표하며 방한 외국인 관광객들도 네이버 지도를 통해 한국의 주요 명소들을 현실감 있게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네이버 지도 '플라잉뷰 3D'를 통해 구현된 첨성대와 동궁과 월지 (사진=네이버 지도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이를 반영하듯 네이버는 이달 말 경북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맞아 방한 외국인 관광객에게 첨성대, 경주유적역사지구 등 경주 유적지 주변 지역을 현실감 있고 입체감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지도 서비스를 총괄하는 최승락 네이버 플레이스 프로덕트 부문장도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네이버 지도가 "오프라인의 현장감도 생생하게 구현하는 '현실과 가장 가까운 지도'로 거듭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공간지능 기술로 '한국형 지도 앱' 자립 기반 강화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네이버가 증강현실(AR)과 3차원(3D)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지도 서비스를 공개했다.
구글이 수년 전 선보인 '라이브 뷰(AR 길 안내)', '이머시브 뷰(3D 기반 장소 탐색)'와 유사한 기능으로 글로벌 플랫폼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며 국내 지도 생태계 기술 자립을 강화하는 행보로 평가된다.
네이버는 최근 자사의 지도 서비스에 최근 '실내 AR 내비게이션'과 '플라잉뷰 3D' 기능을 도입했다.
실내 AR 내비게이션은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GPS) 신호가 닿지 않는 곳에서도 스마트폰 카메라만으로 이용자 위치와 방향을 인식해 AR로 길을 안내해주는 서비스다.
카메라로 주변을 스캔하면 목적지까지 이동 방향이 현실 공간 위에 직관적으로 표시돼 대형 복합시설과 같이 복잡한 실내에서도 길을 헤매지 않고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기능은 3D 공간 정보를 구축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카메라 영상만으로 위치를 인식하는 AI 비전 측위 기술이 결합돼 가능했다.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이용자의 위치와 바라보는 방향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파악해 실내에서도 정확한 길 안내를 제공한다.
실내 AR 내비게이션은 코엑스에서 우선 제공한다. 네이버 지도는 코엑스를 시작으로 강남역, 인천국제공항, 롯데월드 잠실·부산점 등 유동 인구가 많고 복잡한 복합 공간을 중심으로 대상 시설을 순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플라잉뷰 3D는 특정 장소를 입체적으로 구현한 기능으로 경주 첨성대, 서울 코엑스,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 전주 한옥마을, 부산 벡스코 등 국내 주요 명소 10곳에서 먼저 제공된다.
네이버랩스의 '노블뷰 신세시시스(NVS)' 기술이 적용돼 실제 촬영 없이도 다양한 각도에서 본 듯한 3D 영상을 생성한다. NVS 기술은 이미지 학습만으로 3D 공간을 구성하고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듯한 영상을 생성하는 3D 비전 기술이다. 드론으로 촬영한 고해상도 항공 이미지와 네이버랩스 자체개발 매핑 장비 'P1'으로 촬영한 거리뷰 3D 이미지를 결합했다.
AR, 3D 기반 지도 서비스를 선보인 건 구글, 애플 등 글로벌 기업이 주였으며 국내 플랫폼사 중에서는 네이버가 최초다.
대표적으로 구글은 2019년 AR 기반 장소 탐색 '라이브 뷰'와 2023년 '이머시브 뷰'를 지도 서비스에 적용했다. 한국 정부에 고정밀 지도 반출을 신청한 구글은 올 초 국내 한 여행 유튜버의 싱가포르 여행 콘텐츠를 통해 두 기능을 구글 지도 강점으로 소개하며 정밀 지도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네이버의 이번 기능 도입은 국내에서 지도 반출 논의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한국 기술력으로 대응한 전략적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네이버는 '플라잉뷰 3D'를 발표하며 방한 외국인 관광객들도 네이버 지도를 통해 한국의 주요 명소들을 현실감 있게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를 반영하듯 네이버는 이달 말 경북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맞아 방한 외국인 관광객에게 첨성대, 경주유적역사지구 등 경주 유적지 주변 지역을 현실감 있고 입체감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지도 서비스를 총괄하는 최승락 네이버 플레이스 프로덕트 부문장도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네이버 지도가 "오프라인의 현장감도 생생하게 구현하는 '현실과 가장 가까운 지도'로 거듭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