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974800_001_20251024120108299.jpg?type=w800

유비리서치, 중대형 OLED 마켓 트래커
아이패드 프로용 패널 공급 본격화로 전년 대비 25.9%↑
중국 패널업체 점유율 확대…한국 기술 격차 유지가 관건
태블릿PC에 주로 쓰이는 중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출하량이 3분기 두 자리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유비리서치가 발표한 ‘중대형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마켓 트래커’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중대형 OLED 시장은 출하량 기준 전분기 대비 11%, 매출 기준 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패드 13인치 모델.[사진=애플]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지던 수요 부진이 완화되며 회복세로 돌아선 모습이다.

이번 성장의 핵심은 태블릿용 OLED 패널이다. 3분기 태블릿용 OLED 출하량은 전분기보다 56%, 전년 동기 대비 25.9% 늘었다. 애플의 ‘아이패드 프로(iPad Pro)’ 신제품 출시로 패널 공급이 본격화된 것이 주요 요인이다.

유비리서치는 삼성디스플레이는 약 150만 대, LG디스플레이는 약 130만 대의 태블릿용 OLED 패널을 공급한 것으로 추정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물량 중 약 70만 대는 iPad Pro용이며, 나머지는 자사 ‘갤럭시 탭 S’ 시리즈용이다. LG디스플레이의 공급 물량은 전량 iPad Pro에 사용됐다.

중국 업체들의 움직임도 두드러진다. 에버디스플레이(Everdisplay)는 지난해 4분기 이후 분기당 60만~80만 대 수준의 출하량을 유지하며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BOE와 비전옥스(Visionox)도 중국 내 태블릿 제조사에 패널 공급을 점차 늘리고 있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부사장은 “태블릿 OLED 시장은 애플 중심으로 한국 업체가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아이패드 보급형 라인업 확대로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며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이 점차 늘어나는 가운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기술 격차를 지켜낼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