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시장 지배적 지위를 남용해 앱 개발자에게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했다는 영국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앱스토어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등 여러 국가에도 파장이 예상된다.
24일 블룸버그·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영국 경쟁심판소는 23일(현지시간) 아이폰·아이패드 이용자들이 애플을 상대로 제기한 집단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이 판결에 따라 애플은 천문학적인 손해배상금을 물게 될 처지에 놓였다.
법원은 애플이 2015년 10월∼2020년 말까지 앱 유통 시장에서 경쟁을 배제하고 개발자들에게 과도하고 불공정한 가격을 수수료로 부과함으로써 시장 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다고 판단했다.
법원은 판결문에서 앱 개발자들이 통상적인 앱 구매 수수료 17.5%와 애플이 실제 부과한 수수료 차액만큼을 과다 청구 당했다고 밝혔다. 소송을 제기한 원고들은 애플이 개발자에게 부과한 수수료가 약 30%라고 주장했다.
법원은 또한 앱 개발자들이 해당 과다 청구액의 약 50%를 소비자에게 전가했다고 판시했다. 이에 애플 측은 자사 앱스토어가 다른 플랫폼들과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전체 앱의 85%는 무료로 제공된다고 반박했다.
원고 측은 소비자들의 피해 규모를 약 15억 파운드(약 2조8000억 원)로 평가하고 있다. 구체적인 손해배상액 산정 방식은 내달 열릴 심리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24일 블룸버그·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영국 경쟁심판소는 23일(현지시간) 아이폰·아이패드 이용자들이 애플을 상대로 제기한 집단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이 판결에 따라 애플은 천문학적인 손해배상금을 물게 될 처지에 놓였다.
법원은 애플이 2015년 10월∼2020년 말까지 앱 유통 시장에서 경쟁을 배제하고 개발자들에게 과도하고 불공정한 가격을 수수료로 부과함으로써 시장 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다고 판단했다.
법원은 판결문에서 앱 개발자들이 통상적인 앱 구매 수수료 17.5%와 애플이 실제 부과한 수수료 차액만큼을 과다 청구 당했다고 밝혔다. 소송을 제기한 원고들은 애플이 개발자에게 부과한 수수료가 약 30%라고 주장했다.
법원은 또한 앱 개발자들이 해당 과다 청구액의 약 50%를 소비자에게 전가했다고 판시했다. 이에 애플 측은 자사 앱스토어가 다른 플랫폼들과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전체 앱의 85%는 무료로 제공된다고 반박했다.
원고 측은 소비자들의 피해 규모를 약 15억 파운드(약 2조8000억 원)로 평가하고 있다. 구체적인 손해배상액 산정 방식은 내달 열릴 심리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