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가 올 3분기(7~9월) 창사 이래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삼성전자에 이어 국내 기업 중에서는 두번째다.
1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 3분기 매출 24조6673억원, 영업이익 11조3434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0%, 61% 증가한 수치다. 지난 2분기 매출 22조2320억원, 영업이익 9조2129억원을 기록하며 최대 실적을 기록했는데, 3개월 만에 경신하는 것이다.
계속되는 호실적을 견인하는 것은 고대역폭메모리(HBM)다. 글로벌 인공지능(AI) 열풍이 불면서,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가속기에 들어가는 HBM 수요도 폭증하고 있는 것이다. SK하이닉스는 2022년부터 HBM3(4세대)을 엔비디아에 독점 공급했고, 현재 엔비디아에 공급되는 HBM3E(5세대) 물량의 75%를 담당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 2분기 HBM 점유율은 SK하이닉스가 62%로 1위로, 마이크론(21%)과 삼성전자(17%)가 뒤를 잇고 있다. 이런 흐름은 3분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범용 메모리의 가격도 계속해서 오르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이 D램 생산 라인을 고부가가치인 HBM 전용으로 전환하면서, D램 생산량이 감소했고 이에 따라 D램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데이터를 모아 저장하는 eSSD(기업용 SSD) 수요도 늘고 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HBM3E 제품의 가격 하락이 예상되지만, 범용 D램과 낸드 제품의 가격 상승이 당초 예상보다 크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한다”며 “상승 사이클의 기간도 기존 예상보다 더욱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