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업계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초개인화’ 맞춤형 서비스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고객에게 맞춤형 오프라인 쇼핑을 제안하는 AI 쇼핑 어시스턴트(도우미) ‘헤이디’를 내국인에게도  확대 적용한다고 19일 밝혔다. 헤이디는 생성형 AI가 백화점·아웃렛 점포 내 브랜드 매장과 레스토랑, 이벤트 등 각종 정보를 종합해 개별 고객 취향에 맞춰 제공하는 서비스다.

0003668129_001_20251019142216831.jpg?type=w860
현대백화점은 7월 외국인 전용으로 헤이디를 먼저 선보인 뒤 석 달 만에 내외국인 통합 버전을 전국 현대백화점·아웃렛에서 공식 오픈했다. 오프라인 점포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거나, 현대백화점 홈페이지와 앱의 헤이디 메뉴를 클릭하면 이용할 수 있다.

외국인 고객의 헤이디 월평균 이용 건수는 9000건이었다. 외국인 전용으로 운영했을 당시 ‘더 여유롭게 즐기는 방법’, ‘더 알차게 구경하는 법’ 등 전반적인 코스 설계를 부탁하는 질문이 두드러졌다. 또  ‘한국 여행 기념 선물로 무엇을 사가면 좋을까요?’ ‘한국의 매운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식당이 있나요?’ 등 선물과 식당 등에 관한 문의도 많았다.

통합버전 헤이디는 고객 취향에 맞는 ‘초개인화’ 서비스를 한층 강화했다. 통합 버전 헤이디에서는 고객의 선물 목적과 원하는 가격대 등에 맞는 브랜드 및 상품을 추천해 주며, 고객이 선물 받을 사람의 성별·나이·취향 정보를 함께 알려주면 추천 상품과 추천 이유를 보다 세세하게 알려준다. 현대백화점은 온·오프라인 구매 이력과 장바구니 데이터, 위치 정보 등 헤이디에 연동 가능한 데이터를 더욱 풍부하게 확장해 한층 정교한 개인화 큐레이션을 구현할 계획이다.

0003668129_002_20251019142216863.jpg?type=w860
신세계백화점도 라이프스타일 기반 추천기술 고도화에 주력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올해 초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과 ‘S-마인드 4.0’ 개발에 착수했다. ‘S-마인드’는 신세계백화점이 2017년 업계 최초로 개발한 AI 기반 고객 분석 시스템이다. S-마인드 4.0은 고객의 단순 구매 이력뿐 아니라 생활패턴, 관심 분야, 소비 성향까지 분석해 최적의 상품과 여행·예술 등 일상과 관련된 모든 콘텐츠를 추천하는 초정밀 개인화 서비스를 목표로 한다.

롯데백화점은 6월 데이터분석기업 스트래티지와 함께 AI 기반 지능형 분석 시스템인 ‘BI 에이전트’를 도입했다. BI 에이전트는 글로벌 데이터 분석 기업 스트래티지가 개발한 플랫폼 ‘스트래티지 원’을 롯데백화점 내부 고객 분석 시스템과 결합한 것이다. BI 에이전트를 바탕으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브랜드 발굴, 마케팅 및 콘텐츠 기획, 서비스 제안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