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심형 로봇배송 확대…2027년까지 1만2천대 투입 목표자율주행 배송로봇 기업 스타십 테크놀로지스가 5천만 달러(약 712억원)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를 완료하고 미국 도시권 시장으로 사업 확장에 나선다.
이번 투자는 유럽 벤처펀드 플루럴이 주도했다. 카르마와 래티튜드 등이 참여했다. 이로써 스타십의 누적 투자액은 2억8천만 달러(약 4천억원)를 넘어섰다.
스타십 테크놀로지스는 2014년 스카이프 공동 창업자 아티 하인라와 야누스 프리스가 설립한 자율주행 배송 전문기업이다.
현재 7개국 270여개 지역에서 2천700대 이상 로봇을 운영 중이다. 배송 실적은 누적 9백만 건을 돌파했다. 미국 내 경쟁사 전체를 합친 것보다 5배 이상 많은 수치다.
자율주행로봇 스타십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 증가량 (사진=스타십테크놀로지스)
스타십은 이미 유럽 30여 개 도시와 미국 내 60여 개 대학 캠퍼스에서 상업적 운영에 성공했다. 회사는 이번 투자를 통해 도심형 배송 서비스로 시장을 확대하고, 로봇 운영 대수를 2027년까지 1만2천대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스타십 로봇은 레벨 4 수준 완전 자율주행을 지원한다. 도로 횡단과 장애물 회피를 스스로 처리한다. 인공지능(AI) 기반 비전 내비게이션 기술로 위성항법장치(GPS) 없이도 1인치(2.5cm) 수준의 정밀 주행을 구현한다.
이 로봇들은 전기 동력으로 움직이는 제로에미션 시스템으로, 유럽 지역에서만 650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절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글로벌 배달 플랫폼과의 파트너십도 확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그럽허브, 유럽에서는 볼트, 월트, 푸도라 등과 협력하고 있다.
아티 하인라 CEO는 "우리는 유럽 도시 시장과 미국 대학 캠퍼스를 장악했고, 이제 미국 도시로 확장할 때"라며 "미국 소비자들은 곧 스타십 로봇을 통해 30분 이내 배송을 새로운 표준으로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투자는 유럽 벤처펀드 플루럴이 주도했다. 카르마와 래티튜드 등이 참여했다. 이로써 스타십의 누적 투자액은 2억8천만 달러(약 4천억원)를 넘어섰다.
스타십 테크놀로지스는 2014년 스카이프 공동 창업자 아티 하인라와 야누스 프리스가 설립한 자율주행 배송 전문기업이다.
현재 7개국 270여개 지역에서 2천700대 이상 로봇을 운영 중이다. 배송 실적은 누적 9백만 건을 돌파했다. 미국 내 경쟁사 전체를 합친 것보다 5배 이상 많은 수치다.

스타십은 이미 유럽 30여 개 도시와 미국 내 60여 개 대학 캠퍼스에서 상업적 운영에 성공했다. 회사는 이번 투자를 통해 도심형 배송 서비스로 시장을 확대하고, 로봇 운영 대수를 2027년까지 1만2천대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스타십 로봇은 레벨 4 수준 완전 자율주행을 지원한다. 도로 횡단과 장애물 회피를 스스로 처리한다. 인공지능(AI) 기반 비전 내비게이션 기술로 위성항법장치(GPS) 없이도 1인치(2.5cm) 수준의 정밀 주행을 구현한다.
이 로봇들은 전기 동력으로 움직이는 제로에미션 시스템으로, 유럽 지역에서만 650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절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글로벌 배달 플랫폼과의 파트너십도 확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그럽허브, 유럽에서는 볼트, 월트, 푸도라 등과 협력하고 있다.
아티 하인라 CEO는 "우리는 유럽 도시 시장과 미국 대학 캠퍼스를 장악했고, 이제 미국 도시로 확장할 때"라며 "미국 소비자들은 곧 스타십 로봇을 통해 30분 이내 배송을 새로운 표준으로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