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893343_001_20251022183017082.jpg?type=w800

AI 전력 수요 급증에 조기 상용화 목표
소형화, 전력생산 기술 확보 집중키로
업계 "기업 생존 위해 일감 창출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 2023년 2월 공개한 한국형핵융합연구로(KSTAR).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에너지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정부의 로드맵 초안이 22일 공개됐다. 소형화와 전력 기술 생산 관련한 '8대 핵심 기술'을 2035년까지 확보하겠다는 목표가 담겼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 엘타워에서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전략 포럼'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 모인 산·학·연 전문가들은 초안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고 보완 방향을 제시했다.

핵융합은 원자핵이 합쳐지면서 나오는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로, 1억 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거쳐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에너지는 발전 효율이 높고 탄소 배출도 낮아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미국, 영국, 중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 국가에선 자체 핵융합 프로젝트에 착수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상용화 핵심 기술 확보와 조기 실증을 위한 전략 수립에 나섰다.

22일 서울 서초구 양재 엘타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마련한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전략 포럼’이 열리고 있다. 김태연 기자

이번 로드맵에서 제시한 핵심은 크게 '소형화 기술 고도화'와 '전략생산 기술 확보'다. 소형화를 위해선 고온 초전도 자석이 핵심이다. 정부는 원천기술을 개발해 핵융합 장치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플라스마 성능을 높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포럼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기술 통합의 관점에서 로드맵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윤시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부원장은 "소형화하면 여러 공학 문제들이 발생한다"면서 "8대 기술을 통합해서 장치로 만들었을 때 제대로 구현될지는 또 다른 문제"라고 지적했다. 관련 산업계의 중장기 일감 마련으로 제조 생태계를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유성택 KAT 대표이사는 "핵융합 과제의 불연속성 때문에 기업들이 생존에 어려움을 겪는다"며 "산업 생태계가 지속될 수 있도록 일감 창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포럼에서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로드맵을 보완한 뒤 핵융합 분야 최고 의결기구인 국가핵융합위원회에서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또 핵융합 핵심기술 및 첨단연구 인프라 조성사업을 기획 중이며 올해 말 1조2,000억 원 규모의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역시 신청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