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5423180_001_20251022183222899.jpg?type=w800

'갤럭시 XR' 韓·美 동시 출시
멀티모달AI 기능 최적화된 모델
구글 제미나이 연계 서비스 제공
안드로이드 기반 앱도 사용 가능
무게 545g으로 착용 피로감 줄여
애플 비전프로보다 200만원 저렴
임성택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이 22일 서울 강남대로 삼성 강남에서 열린 미디어브리핑에서 '갤럭시 XR'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확장현실(XR) 헤드셋 '갤럭시 XR'을 22일 한국과 미국에 동시 출시했다. 갤럭시 XR은 물리적 제한없이 확장된 3차원의 공간에서 음성, 시선, 제스처 등으로 콘텐츠를 즐기고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기다. 같은 날 출시한 애플의 '비전 프로 2'에 비해 200만원대의 낮은 가격도 강점으로 꼽힌다.

■AI가 사용자 음성·시선·제스처 인식

삼성전자는 22일 서울 강남대로 삼성 강남에서 미디어브리핑을 열고 갤럭시 XR을 공개했다. 갤럭시 XR은 '멀티모달 인공지능(AI)'에 최적화됐다. 멀티모달 AI는 텍스트, 이미지 뿐 아니라 음성,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하는 기술이다.

기기 작동 방식은 구글 AI 제미나이와 연계한 음성·시선·제스처다. 이를 위해 정밀한 센서·카메라·마이크와 퀄컴 '스냅드래곤 XR2 플러스 2세대' 칩셋 등 고성능 하드웨어를 탑재했다.

가령 제미나이에게 음성으로 유튜브에서 원하는 영상 콘텐츠를 찾아 달라고 한 후 시선을 움직여 검색된 결과물을 선택하고 손가락을 맞닿게 하는 제스처로 실행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기업간거래(B2B) 분야에서도 다른 업종과 기업용 XR 협업을 통해 멀티모달 AI의 가능성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삼성중공업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갤럭시 XR을 활용한 가상 조선 훈련 솔루션을 구축한다. 이 솔루션으로 신입 엔지니어가 갤럭시 XR을 통해 가상의 공간에서 선박엔진 검사 등을 충분히 훈련한 후 실전 투입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갤럭시 XR에 탑재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통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을 사용할 수 았다. 구글지도·포토·유튜브 XR 등 구글의 기본 서비스, 기존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던 기능들이 모두 갤럭시 XR에서 구현된다.

■애플 비전프로보다 저렴한 269만원

갤럭시XR 무게는 545g이다. 애플 '비전프로'(600~650g)보다 가볍고, 메타 '메타퀘스트3'(515g)보다 무겁다. 헤드셋 프레임은 이마와 머리 뒤쪽의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장시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했다. 탈부착에 따라 외부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외부광 차단 패드'도 제공된다.

저시력 사용자는 도수형 인서트 렌즈를 맞춤 제작해 갤럭시 XR에 자석처럼 부착해 사용 가능하다. 전국 다비치 안경 매장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도수 검사를 진행하고 주문을 하면 글로벌 안경렌즈 전문 기업 '에실로'가 렌즈를 제작한다. 가격은 일괄 14만원이다.

눈 앞의 현실 장면이 그대로 보이는 '패스 스루' 상태에서는 '서클 투 서치'를 활용해 눈 앞에 있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즉시 검색할 수 있다. XR 전용 게임과 안드로이드 기반 게임을 제미나이에게 실시간 코칭을 받으며 즐길 수 있다. '어도비 펄사' 프로그램을 활용해 3D 영상 제작도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어도비, MLB, NBA, 어도비, 캄, 어메이즈 VR 등 글로벌 주요 서비스와 연계한 XR 콘텐츠를 제공한다. 네이버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에서도 XR 전용 콘텐츠를 선보일 계획이다. 269만원의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대도 강점이다. 애플 '비전프로 1(3499달러·약 490만원)'보다 200만원 가량 더 저렴하다.

삼성전자는 내년 XR 기기 시장이 올해보다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구글과 협력해 차세대 스마트 글라스도 개발 중이다. 젠틀몬스터, 와비 파커와 파트너십을 통해 스타일과 실용성을 모두 갖춘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임성택 한국총괄 부사장은 "갤럭시 XR은 업계 최고 수준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라고 자부한다"며 "갤럭시 XR을 시작으로 XR기기가 훨씬 대중화되고, 시장의 긍정적 반응을 더 이끌어내 혁신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