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카오·KT와 컨소시엄 구성
초대형 AI데이터센터 세우고
GPU 1.5만장 이상 안정 공급
전남 해남군 ‘솔라시도 기업도시’에 들어산 재생에너지산업단지 전경. 사진 제공=해남군
[서울경제]
조(兆) 단위 규모의 초대형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짓는 정부 사업에 삼성SDS가 주도하는 대기업 컨소시엄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최종 선정 시 재생에너지 클러스터(집적단지)인 해남 솔라시도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전망이다. 앞서 두 차례 유찰로 차질을 빚었던 AI 3강(G3) 전략 핵심 사업이 뒤늦게나마 본격 추진되는 모양새다.
2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이날 삼성SDS와 네이버클라우드·카카오·KT 등이 참여한 컨소시엄은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의 사업참여계획서를 제출했다. 삼성SDS 컨소시엄이 단독 응찰한 만큼 사업자 선정이 유력한 상황이다. 과기정통부는 컨소시엄을 상대로 연말까지 기술·정책 평가와 투자·대출 등 금융심사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삼성SDS는 특히 전남도와 협력해 데이터센터를 지을 후보지로 전남 해남군 ‘솔라시도 데이터센터 파크’로 선정했다. 솔라시도는 단일 태양광 발전소 기준으로 국내 최대 규모인 98㎿(메가와트)급 발전단지다. 이재명 정부가 구상하는 재생에너지 기반 AI 데이터센터를 실현할 최적지로 꼽힌다. 데이터센터 발열 제어를 위한 냉각수 공급은 물론 한국전력공사 등 인근 관련 기관과의 연계도 유리하다. SK그룹과 오픈AI도 이달 1일 이 같은 장점을 살려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협력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은 민관 합작으로 초대형 AI 데이터센터를 지어 국내 기업·기관의 AI 개발과 활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전 세계적으로 수급 차질을 겪는 AI 연산 자원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국내에 안정적으로 공급해 산업 성장을 뒷받침하겠다는 취지다. 국가AI컴퓨팅센터에는 2028년까지 GPU 1만 5000장, 이후 2030년까지 추가 물량이 탑재될 예정이다. 이에 정부 예산 2조 5000억 원 안팎이 투입될 전망이다. 민간 사업자는 정부와 공동 출자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GPU 확보와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선다.
삼성SDS 컨소시엄은 삼성SDS와 네이버클라우드 등 복수의 클라우드제공사업자(CSP)가 참여하는 멀티(다중) 클라우드 방식으로 AI 데이터센터 운영을 효율화하고 카카오와 KT 등과는 관련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제공에 협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응찰은 세 번째 공모만에 이뤄졌다. 과기정통부는 앞서 5월과 6월 두 차례 사업자 공모를 진행했지만 참여하려는 기업들이 없어 모두 유찰된 바 있다. 국내에 GPU를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사업 성격이 강한 데다 정부가 SPC 지분 과반을 가져 요금 책정 등 운영 전반을 주도할 수 있는 구조라 민간 기업 입장에서는 사업성을 기대할 수 없다는 이유였다.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도입 의무와 의무와 정부가 원할 때 SPC 공공 지분을 매입해야 하는 매수청구권 규정도 부담이었다.
정부는 이에 지난달 8일 SPC 민간 지분을 70% 이상으로 늘리고 NPU 도입 의무와 매수청구권 규정을 삭제한 후 사업자를 다시 모집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가AI컴퓨팅센터는 AI 생태계 성장의 플랫폼이자 AI 고속도로의 핵심 거점”이라며 “AI 3강 도약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초대형 AI데이터센터 세우고
GPU 1.5만장 이상 안정 공급
[서울경제]
조(兆) 단위 규모의 초대형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짓는 정부 사업에 삼성SDS가 주도하는 대기업 컨소시엄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최종 선정 시 재생에너지 클러스터(집적단지)인 해남 솔라시도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전망이다. 앞서 두 차례 유찰로 차질을 빚었던 AI 3강(G3) 전략 핵심 사업이 뒤늦게나마 본격 추진되는 모양새다.
2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이날 삼성SDS와 네이버클라우드·카카오·KT 등이 참여한 컨소시엄은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의 사업참여계획서를 제출했다. 삼성SDS 컨소시엄이 단독 응찰한 만큼 사업자 선정이 유력한 상황이다. 과기정통부는 컨소시엄을 상대로 연말까지 기술·정책 평가와 투자·대출 등 금융심사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삼성SDS는 특히 전남도와 협력해 데이터센터를 지을 후보지로 전남 해남군 ‘솔라시도 데이터센터 파크’로 선정했다. 솔라시도는 단일 태양광 발전소 기준으로 국내 최대 규모인 98㎿(메가와트)급 발전단지다. 이재명 정부가 구상하는 재생에너지 기반 AI 데이터센터를 실현할 최적지로 꼽힌다. 데이터센터 발열 제어를 위한 냉각수 공급은 물론 한국전력공사 등 인근 관련 기관과의 연계도 유리하다. SK그룹과 오픈AI도 이달 1일 이 같은 장점을 살려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협력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은 민관 합작으로 초대형 AI 데이터센터를 지어 국내 기업·기관의 AI 개발과 활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전 세계적으로 수급 차질을 겪는 AI 연산 자원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국내에 안정적으로 공급해 산업 성장을 뒷받침하겠다는 취지다. 국가AI컴퓨팅센터에는 2028년까지 GPU 1만 5000장, 이후 2030년까지 추가 물량이 탑재될 예정이다. 이에 정부 예산 2조 5000억 원 안팎이 투입될 전망이다. 민간 사업자는 정부와 공동 출자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GPU 확보와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선다.
삼성SDS 컨소시엄은 삼성SDS와 네이버클라우드 등 복수의 클라우드제공사업자(CSP)가 참여하는 멀티(다중) 클라우드 방식으로 AI 데이터센터 운영을 효율화하고 카카오와 KT 등과는 관련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제공에 협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응찰은 세 번째 공모만에 이뤄졌다. 과기정통부는 앞서 5월과 6월 두 차례 사업자 공모를 진행했지만 참여하려는 기업들이 없어 모두 유찰된 바 있다. 국내에 GPU를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사업 성격이 강한 데다 정부가 SPC 지분 과반을 가져 요금 책정 등 운영 전반을 주도할 수 있는 구조라 민간 기업 입장에서는 사업성을 기대할 수 없다는 이유였다.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도입 의무와 의무와 정부가 원할 때 SPC 공공 지분을 매입해야 하는 매수청구권 규정도 부담이었다.
정부는 이에 지난달 8일 SPC 민간 지분을 70% 이상으로 늘리고 NPU 도입 의무와 매수청구권 규정을 삭제한 후 사업자를 다시 모집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가AI컴퓨팅센터는 AI 생태계 성장의 플랫폼이자 AI 고속도로의 핵심 거점”이라며 “AI 3강 도약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