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용석우 삼성전자 사장 겸 한국전자통신산업진흥회(KEA) 협회장이 "미중 기술 패권 경쟁, 공급망 재편, 인공지능(AI) 등 도전을 앞두고 있다"며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며 글로벌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용석우 협회장은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전자전 제20회 전자IT의 날 기념행사'에서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은 반도체, 배터리, AI 등 핵심 분야에서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며 "공급망 재편은 기업들의 경영 전략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용 협회장은 "기후 변화와 ESG 규제 강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유럽연합의 탄소 국경 제도, 에코디자인 규제와 같은 환경과 지속 가능성의 요구는 이제 기업의 선택이 아닌 생존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AI 전환의 물결은 산업과 일상을 근본적으로 뒤흔들고 있다"며 "생성형 AI, 피지컬 AI, 초연결 인프라 기술은 전자 IT 산업 에코 시스템을 재편하며 제품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을 완전히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업과 정부 간 협력을 통한 돌파구 마련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최근 정부는 제조 AX 얼라이언스를 출범해 휴머노이드, AI 팩토리, AI 가전 등 10대 핵심 분야에서 1위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내놨다.
용 협회장은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도 이러한 정부 정책 기조에 발맞춰 AI 데이터 기반의 제조 혁신, 우리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겠다"며 "친환경 지속 가능한 AX 전환 가속화를 추진하며 산업 생태계 전반의 혁신과 성장을 촉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용 협회장은 "우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 IT 강국으로서 새로운 미래를 여는 문 앞에 서 있다"며 "정부, 기업, 학계가 함께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며 글로벌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