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미국 신용카드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영국 은행 바클레이스와 미국 내 신용카드 출시를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이외에도 고수익 예금 계좌와 디지털 선불 계좌, 새로운 후불 결제 상품 등의 출시도 검토 중이며, 이들 중 일부 상품도 바클레이스와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WSJ이 입수한 문건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소비자가 새로 출시되는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캐시백이 삼성 캐시로 예치된 이후 다시 삼성의 고금리 저축 계좌로 이체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또, 자사의 신용카드 혜택이 휴대전화와 TV, 가전제품 등 자사 제품 판매량과 소비자 충성도를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WSJ은 양사가 연말까지 제휴를 발표할 계획이지만, 협상이 아직 마무리된 것은 아니며 애초에 설정된 마감 시한을 넘겨 협상을 지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와 바클레이스의 신용카드 발급은 앞서 애플이 시도했던 방식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지난 2019년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마스터카드와 제휴해 상업자표시신용카드(PLCC)인 '애플카드'를 발행했다. 애플 카드는 애플페이로 결제하면 무제한 2%, 제휴처 결제 시 무제한 3%를 환급해주고 애플 제품을 구매하면 무이자 할부 혜택을 줘 인기를 끌었다.
다만 골드만삭스는 이들 상품이 속한 소비자 금융 시장에서 큰 적자를 보고 있으며, 이에 애플은 제휴 금융사를 JP모건 체이스로 교체하는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에도 신용카드 출시를 위해 금융사들과 협의를 진행했으나 금융사들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WSJ은 덧붙였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영국 은행 바클레이스와 미국 내 신용카드 출시를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이외에도 고수익 예금 계좌와 디지털 선불 계좌, 새로운 후불 결제 상품 등의 출시도 검토 중이며, 이들 중 일부 상품도 바클레이스와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WSJ이 입수한 문건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소비자가 새로 출시되는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캐시백이 삼성 캐시로 예치된 이후 다시 삼성의 고금리 저축 계좌로 이체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또, 자사의 신용카드 혜택이 휴대전화와 TV, 가전제품 등 자사 제품 판매량과 소비자 충성도를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WSJ은 양사가 연말까지 제휴를 발표할 계획이지만, 협상이 아직 마무리된 것은 아니며 애초에 설정된 마감 시한을 넘겨 협상을 지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와 바클레이스의 신용카드 발급은 앞서 애플이 시도했던 방식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지난 2019년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마스터카드와 제휴해 상업자표시신용카드(PLCC)인 '애플카드'를 발행했다. 애플 카드는 애플페이로 결제하면 무제한 2%, 제휴처 결제 시 무제한 3%를 환급해주고 애플 제품을 구매하면 무이자 할부 혜택을 줘 인기를 끌었다.
다만 골드만삭스는 이들 상품이 속한 소비자 금융 시장에서 큰 적자를 보고 있으며, 이에 애플은 제휴 금융사를 JP모건 체이스로 교체하는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에도 신용카드 출시를 위해 금융사들과 협의를 진행했으나 금융사들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WSJ은 덧붙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