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신문 나우뉴스]
빨판상어가 혹등고래에 붙어있는 모습. Olaf Meynecke 제공
‘바다의 무임 승차객’이라 불리는 빨판상어가 거대한 혹등고래를 타고 다니는 흥미로운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8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은 빨판상어가 ‘고래 서핑’을 하는 희귀 영상이 촬영됐다고 보도했다.
빨판상어가 혹등고래에 붙어있는 영상의 일부. Olaf Meynecke 제공
실제 공개된 영상을 보면 혹등고래 몸에 딱 달라붙어 마치 비행하듯 이동하는 빨판상어의 모습이 확인된다. 마치 거대한 유람선을 무료로 타고 빠른 속도로 바다를 여행하는 상황이 연상되는 것. 이 영상은 호주 그리피스 대학 등 연구팀이 혹등고래의 생태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촬영됐다. 앞서 연구팀은 매년 남극에서 호주 퀸즐랜드 해역으로 이동하는 혹등고래에 카메라를 부착해 이들의 생태를 연구할 계획이었으나 우연히 빨판상어 떼가 붙어있는 모습이 함께 촬영된 것.
빨판상어와 혹등고래. Olaf Meynecke 제공
이에 대해 올라프 마이네케 연구원은 “빨판상어가 고래와 함께 이동하며 얼마나 빠르고 민첩한 지 정말 놀랐다”면서 “가장 놀라운 능력은 고래가 수면 위로 뛰어올라 물속으로 들어오는 상황에서도 정확히 몸통에서 떨어지고 다시 붙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빨판상어가 무료로 고래를 탑승하는 것 같지만 나름 ‘요금’은 지급한다. 마이네케 연구원은 “빨판상어는 고래 몸에 붙은 각질과 바다이 등을 갉아먹기 때문에 유익할 가능성이 높지만 고래는 이를 싫어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빨판상어가 혹등고래에 붙어있는 모습. Olaf Meynecke 제공
한편 빨판상어는 이름과 달리 사실 상어류는 아니다. 연골어류인 상어와 달리 경골어류인데, 몸은 긴 원통형이며 다 자라면 몸길이가 30~90㎝에 달한다. 빨판상어는 고래뿐 아니라 상어와 가오리 등 다른 해양생물에도 착 달라붙는데, 이 비결은 몸에 있는 타원형의 빨판 덕이다. 이를 통해 빨판상어는 에너지를 절약하며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으며 포식자로부터 보호받는다. 여기에 숙주가 남긴 부스러기는 덤이다.
‘바다의 무임 승차객’이라 불리는 빨판상어가 거대한 혹등고래를 타고 다니는 흥미로운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8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은 빨판상어가 ‘고래 서핑’을 하는 희귀 영상이 촬영됐다고 보도했다.
실제 공개된 영상을 보면 혹등고래 몸에 딱 달라붙어 마치 비행하듯 이동하는 빨판상어의 모습이 확인된다. 마치 거대한 유람선을 무료로 타고 빠른 속도로 바다를 여행하는 상황이 연상되는 것. 이 영상은 호주 그리피스 대학 등 연구팀이 혹등고래의 생태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촬영됐다. 앞서 연구팀은 매년 남극에서 호주 퀸즐랜드 해역으로 이동하는 혹등고래에 카메라를 부착해 이들의 생태를 연구할 계획이었으나 우연히 빨판상어 떼가 붙어있는 모습이 함께 촬영된 것.
이에 대해 올라프 마이네케 연구원은 “빨판상어가 고래와 함께 이동하며 얼마나 빠르고 민첩한 지 정말 놀랐다”면서 “가장 놀라운 능력은 고래가 수면 위로 뛰어올라 물속으로 들어오는 상황에서도 정확히 몸통에서 떨어지고 다시 붙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빨판상어가 무료로 고래를 탑승하는 것 같지만 나름 ‘요금’은 지급한다. 마이네케 연구원은 “빨판상어는 고래 몸에 붙은 각질과 바다이 등을 갉아먹기 때문에 유익할 가능성이 높지만 고래는 이를 싫어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한편 빨판상어는 이름과 달리 사실 상어류는 아니다. 연골어류인 상어와 달리 경골어류인데, 몸은 긴 원통형이며 다 자라면 몸길이가 30~90㎝에 달한다. 빨판상어는 고래뿐 아니라 상어와 가오리 등 다른 해양생물에도 착 달라붙는데, 이 비결은 몸에 있는 타원형의 빨판 덕이다. 이를 통해 빨판상어는 에너지를 절약하며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으며 포식자로부터 보호받는다. 여기에 숙주가 남긴 부스러기는 덤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