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074709_001_20251107120407356.jpg?type=w800

카카오가 9월23일부터 카카오톡에 숏폼 콘텐츠 서비스를 적용했다. /사진= 카카오 제공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형 프로필 목록·숏폼 콘텐츠 도입을 포함한 카카오톡의 체류시간이 증가했다. 카카오는 인공지능(AI) 서비스 출시를 지속해 카카오톡을 단순한 메신저가 아닌 콘텐츠 탐색·검색 중심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7일 올해 3분기 실적발표 뒤 콘퍼런스콜에서 "카카오톡 개편 이후 주요 성과지표(KPI)인 이용자의 일 평균 체류시간이 개편 전 3분기 평균인 24분 대에서 26분에 근접한 수준까지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하향 안정화되던 체류 시간이 처음으로 반등하기 시작했다는 점은 유의미하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9월23일부터 카카오톡 친구탭을 친구목록에서 인스타그램과 비슷한 SNS형으로 바꿨다. 지금탭에는 숏폼 콘텐츠를 추가했다. 10월28일부터는 카카오톡 안에서 미국 AI 기업 오픈AI의 생성형 AI 서비스 챗GPT를 바로 쓸 수 있는 '챗GPT 포(for) 카카오'를 추가해 AI 검색 기능을 도입했다. 이와 같은 개편 목적 중 하나는 카카오톡의 이용자 체류시간을 늘려 광고·커머스 서비스 수익을 올리는 것이다.

특히 SNS형 프로필이 도입된 친구탭과 숏폼이 들어간 친구탭은 개편 이후 체류시간이 개편 전 평균 보다 10% 이상 증가했다. 정 대표는 "그동안 대화방 내에 편중되었던 플랫폼 트래픽의 구성이 채팅이 아닌 다른 탭으로도 확장되면서 카카오톡 플랫폼 전반에서 트래픽의 질이 한층 더 향상됐다"고 자평했다.

카카오는 올해 초 카카오톡의 체류시간 상승률 20%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대대적인 개편을 시작한 초기 결과 10% 이상 상승률을 기록해 목표치에 가까워졌다. 특히 카카오는 코로나19 확산 시기 비대면 만남 증가 속에서도 카카오톡 체류시간은 평균 10% 정도 늘어났던 것을 고려하면 유의미한 성과라고 설명했다.

챗GPT 포 카카오는 이달 6일 기준 출시 10일 차에 이용약관에 동의하고 서비스 이용을 시작한 이용자 수 200만명을 넘었다. 이 서비스의 일 활성 이용자 체류시간은 4분 정도다. 이를 두고 정 대표는 "AI 서비스의 출시를 기점으로 카카오톡의 사용성이 단순한 메시징을 넘어 탐색과 검색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연말부터 챗GPT 유료 구독자 확대와 챗GPT 포 카카오 서비스 고도화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의 협력 유지를 위한 계획으로 보인다. 카카오는 내년에도 카카오톡 개편을 지속해 AI 에이전트를 추가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오픈AI의 AI모델, 서비스를 활용할 수도 있다. 정 대표는 "이용자와 AI 에이전트와의 접점을 카카오톡 안에 마련하기 시작한 만큼, 에이전틱 AI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확장해 이용자의 편리함을 늘리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정 대표는 콘퍼런스콜을 시작하자마자 카카오톡 개편에 관한 이용자 의견을 수렴했다고 강조했다. 카카오톡의 친구탭 개편을 두고 이용자 사이에선 불필요한 관계를 상기시킨다는 불만이 폭주했다. 카카오는 연말까지 개편 전과 같은 친구목록을 복구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