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5208151_001_20251107062816327.jpg?type=w800

오픈AI ‘정부 개입’ 제안에 반박
“거품도 초지능도 과장된 공포”
AI 산업, 美선 민간 경쟁 원칙 유지
데이비드 색스 미국 행정부 인공지능·가상화폐 총책임자(차르)가 지난해 7월 위스콘신주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FP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인공지능·가상화폐 총책임자(차르)인 데이비드 색스가 6일(현지시간) "AI를 위한 구제금융은 없다"고 밝혔다.

색스 총책임자는 이날 X(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미국에는 최소 5개의 선구적인 AI 모델 기업이 있다. 하나가 실패하면 다른 기업이 그 자리를 대신할 것"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AI가 거대한 거품이라는 주장과 초지능이 곧 출현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모두 사실일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일축했다. 또한 가정용 전기 요금 인상 없이 전력 인프라의 허가 및 발전을 간소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라 프라이어 오픈AI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전날 한 행사에서 "오픈AI는 정부가 연방 보조금과 같은 방식으로 개입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한 데 따른 반응이다. 프라이어 CFO는 AI 칩 인프라 확대를 위해서는 은행, 사모펀드, 정부 등이 포함된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프라이어 CFO가 언급한 '백스탑(backstop·안전장치)'이라는 표현이 논란이 됐다. 그가 "이러한 백스탑이 있다면 자금 조달을 위한 이자율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말하면서, 이것이 사실상 연방 정부의 보증을 요구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됐다.

실리콘밸리=김인엽 특파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