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5586088_001_20251106221814573.png?type=w800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이사가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콘퍼런스 ‘단25(DAN25)’에서 발언하고 있다. [네이버]“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6만장은 인공지능(AI) 서비스에 사용할 예정인데 충분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6일 네이버에 따르면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이사는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DAN25)에서 질의응답 시간을 가지고, AI 개발과 로봇 사업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젠슨 황이 약속한 엔비디아 GPU 6만장의 사용처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네이버는 엔비디아 GPU 6만장 도입 시기와 도입 방법 등 정확한 타임라인을 확정하지는 못한 상황이다. 대부분의 네이버 서비스에 GPU가 투입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GPU 확보 노력을 이어갈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세계적으로 엔비디아 GPU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네이버도 GPU 보급처 다각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김 대표는 “네이버가 영위 중인 AI 사업이 많다. 하이퍼클로바X 고도화뿐만 아니라, 서비스 AI, 피지컬 AI, 버티컬 AI 등을 운영하는 데도 많은 GPU가 필요하다”라며 “예전보다 과감한 투자를 하기 위해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 중심의 GPU 문제는 세계적 이슈”라며 “GPU에 해당하는 것들에 대한 테스트를 끊임없이 하고 있다. 아직 엔비디아 칩의 성능이 탁월하긴 하지만, 다른 대안을 찾는 과정이다. 네이버만이 아니라 전 세계 모든 회사들의 공통적인 노력이다”라고 말했다.

네이버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미니노이드’의 상용화도 언급했다. 아울러 실내배달로봇 ‘루키’의 업그레이드 버전도 공개했다. 제작 비용과 운용 효율 측면에서 전작 대비 성능이 개선됐다.

김 대표는 “네이버는 로봇을 만드는 회사는 아니지만, 운영체제(OS) 플랫폼을 작동하기 위해 다양한 로봇을 활용하고 있다”며 “휴머노이드는 이달 말 네이버 사옥에서 커피나 도시락 배달 등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