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8기 가동 중, 33기 건설 중, 43기 계획 중
中 해안 원전 사고 나면 한국 직접 영향
고비사막서 토륨 용융염 원자로도 실험
독성가스 제어 안 돼 한국으로 넘어올라
6월 19일 중국 장쑤성 롄윈강시에서 톈완 원자력발전소가 건설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중국의 원자력발전소 증가 속도가 심상찮다. 2035년까지 150기를 추가 건설하겠다는 목표 아래 매년 10기가량의 신규 원전이 착공되고 있다. 게다가 아직 국제 안전 규제 체계가 없는 '토륨 용융염 원자로' 개발까지 속도가 붙었다. 내륙에서도 원전을 가동하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중국 원전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한국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와 비교도 안 될 만큼 직접적인 피해에 노출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실시간 정보 교류 체계를 구축하고 상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4일 원자력계에 따르면, 중국과학원은 최근 고비 사막의 토륨 용융염 실험로에서 토륨을 우라늄 핵연료로 바꾸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실이라면 세계 처음이다. 토륨은 자체 핵분열을 일으킬 순 없지만, 용융염(뜨거운 액체 상태의 소금)과 함께 원자로에 넣으면 핵분열을 일으킨다. 이를 이용하면 기존 원전과 달리 다량의 물이 필요하지 않아 내륙에서도 원전을 가동할 수 있다. 중국은 이 기술을 이용해 2035년까지 100메가와트(㎿)급 시범 원자로를 완성하는 게 목표다.
문제는 안전성이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세계적으로 토륨 용융염 원자로에 대해서는 안전 규제가 갖춰져 있지 않다"며 "상용화하려면, 용융염 원자로의 치명적 한계로 거론되는 부식 문제와 독성 가스 제어 기술이 입증돼야 하는데, 중국이 이런 기술들을 확보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만약 중국이 자체 규제를 토대로 이 원자로를 가동할 때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다. 만약 독성 가스가 제대로 제어되지 않으면 한국 상공으로 방사능 물질이 넘어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래픽=강준구 기자
중국이 원전 신기술 개발에 공들이는 이유는 중국 동부·남부 해안이 원전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국제원자력협회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달 기준 원전 58기를 가동 중이며, 33기를 건설 중이다. 합치면 91기로 세계 최다 원전 보유국인 미국(93기)과 맞먹는 수준에 이른다. 여기에 현재 계획 중인 43기까지 합치면 134기나 된다.
이들 원전의 안전성은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양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산둥반도의 원전은 인천과 350㎞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며 "해류를 감안해도 중국 동부 해안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한다면 후쿠시마 때보다 훨씬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인접국의 방사능 물질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현재 먼바다(5~300㎞)에 78개, 연근해(5㎞ 이내)에 165개의 모니터링 정점을 운영하고 있는데, 먼바다 정점은 2021년 32개에서 2배 이상 늘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는 "한중일 3국이 정기적으로 원자력 안전 규제 현황을 교류하는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인접국 원전 사고 발생에 대비해 신속하게 탐지·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中 해안 원전 사고 나면 한국 직접 영향
고비사막서 토륨 용융염 원자로도 실험
독성가스 제어 안 돼 한국으로 넘어올라
중국의 원자력발전소 증가 속도가 심상찮다. 2035년까지 150기를 추가 건설하겠다는 목표 아래 매년 10기가량의 신규 원전이 착공되고 있다. 게다가 아직 국제 안전 규제 체계가 없는 '토륨 용융염 원자로' 개발까지 속도가 붙었다. 내륙에서도 원전을 가동하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중국 원전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한국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와 비교도 안 될 만큼 직접적인 피해에 노출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실시간 정보 교류 체계를 구축하고 상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4일 원자력계에 따르면, 중국과학원은 최근 고비 사막의 토륨 용융염 실험로에서 토륨을 우라늄 핵연료로 바꾸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실이라면 세계 처음이다. 토륨은 자체 핵분열을 일으킬 순 없지만, 용융염(뜨거운 액체 상태의 소금)과 함께 원자로에 넣으면 핵분열을 일으킨다. 이를 이용하면 기존 원전과 달리 다량의 물이 필요하지 않아 내륙에서도 원전을 가동할 수 있다. 중국은 이 기술을 이용해 2035년까지 100메가와트(㎿)급 시범 원자로를 완성하는 게 목표다.
문제는 안전성이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세계적으로 토륨 용융염 원자로에 대해서는 안전 규제가 갖춰져 있지 않다"며 "상용화하려면, 용융염 원자로의 치명적 한계로 거론되는 부식 문제와 독성 가스 제어 기술이 입증돼야 하는데, 중국이 이런 기술들을 확보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만약 중국이 자체 규제를 토대로 이 원자로를 가동할 때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다. 만약 독성 가스가 제대로 제어되지 않으면 한국 상공으로 방사능 물질이 넘어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국이 원전 신기술 개발에 공들이는 이유는 중국 동부·남부 해안이 원전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국제원자력협회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달 기준 원전 58기를 가동 중이며, 33기를 건설 중이다. 합치면 91기로 세계 최다 원전 보유국인 미국(93기)과 맞먹는 수준에 이른다. 여기에 현재 계획 중인 43기까지 합치면 134기나 된다.
이들 원전의 안전성은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양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산둥반도의 원전은 인천과 350㎞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며 "해류를 감안해도 중국 동부 해안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한다면 후쿠시마 때보다 훨씬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인접국의 방사능 물질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현재 먼바다(5~300㎞)에 78개, 연근해(5㎞ 이내)에 165개의 모니터링 정점을 운영하고 있는데, 먼바다 정점은 2021년 32개에서 2배 이상 늘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는 "한중일 3국이 정기적으로 원자력 안전 규제 현황을 교류하는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인접국 원전 사고 발생에 대비해 신속하게 탐지·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