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트먼 로드스터 겨냥 "7년째 인도 지연·환불 거부 공개"
머스크 "24시간 내 환불"
머스크, 올 초 오픈AI 상대 소송 제기오픈AI 영리화 문제로 한차례 충돌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또다시 공개 설전을 벌였다. 올트먼 CEO가 "머스크는 오픈AI를 죽도록 방치했다"고 비판하자 머스크 CEO는 "너는 비영리 단체를 훔쳤다"고 맞받았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왼쪽)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게티이미지
이번 논쟁은 테슬라 슈퍼카인 '로드스터' 예약금 문제에서 촉발됐다. 올트먼 CEO는 2018년 4만5000달러를 결제해 차세대 로드스터를 예약했으나 7년 넘게 인도가 지연됐다며, 5만달러 환불 요청 이메일이 반송된 사실을 엑스(X·옛 트위터)에 공개했다. 머스크 CEO는 로드스터 2세대를 2017년 공개하면서 2020년 출시하겠다고 밝혔으나, 5년 넘게 지연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머스크 CEO는 "당신은 이 문제가 해결돼 24시간 안에 환불받았다는 걸 언급하는 걸 깜빡했다. 하지만 그게 당신의 본성"이라며 올트먼 CEO가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너는 비영리 단체를 훔쳤다(You stole a non-profit)"는 글을 올리며 오픈AI의 영리화 전환을 비판했다.
올트먼 CEO도 물러서지 않았다. 그는 "당신이 죽도록 방치한 회사를 세계 최대의 비영리 단체로 바꾸는 데 내가 도움을 줬다"며 "지금의 오픈AI 구조가 그걸 가능하게 했다"고 응수했다. 그는 또 "당신은 과거 테슬라가 오픈AI를 인수하길 원했지만 그건 전혀 비영리 취지와 맞지 않았다"며 "그때는 성공 확률이 0%라 했지만, 지금은 당신도 훌륭한 AI 기업을 갖고 있고 우리도 그렇다. 이제 그만 넘어가자"고 했다.
머스크 CEO와 올트먼 CEO는 2015년 비영리 AI 연구기관 오픈AI를 공동 설립했다. 하지만 머스크 CEO가 2018년 이사회에서 물러나고, 2023년 경쟁사 '엑스AI(xAI)'를 창립하면서 두 사람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됐다.
머스크 CEO는 오픈AI가 2022년 챗GPT 출시 후 급성장하자 "오픈소스·비영리 원칙이 사라지고 마이크로소프트(MS)가 통제하는 폐쇄형 이익기업이 됐다"며 공개적으로 비판해왔다. 그는 올해 초 오픈AI와 올트먼 CEO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비영리에서 영리 기업으로의 전환은 설립 취지를 위반한 사기"라고 주장했다.
한편 오픈AI는 지난 10월 영리 기업으로의 구조 개편을 마무리했다. 비영리 부문은 '오픈AI 재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약 1300억달러 규모의 영리법인 지분을 보유하게 됐다. 오픈AI 측은 "이는 사상 가장 자원이 풍부한 자선단체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영리 부문인 오픈AI 그룹(OpenAI Group PBC) 역시 동일한 사명 아래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머스크 "24시간 내 환불"
머스크, 올 초 오픈AI 상대 소송 제기오픈AI 영리화 문제로 한차례 충돌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또다시 공개 설전을 벌였다. 올트먼 CEO가 "머스크는 오픈AI를 죽도록 방치했다"고 비판하자 머스크 CEO는 "너는 비영리 단체를 훔쳤다"고 맞받았다.
이번 논쟁은 테슬라 슈퍼카인 '로드스터' 예약금 문제에서 촉발됐다. 올트먼 CEO는 2018년 4만5000달러를 결제해 차세대 로드스터를 예약했으나 7년 넘게 인도가 지연됐다며, 5만달러 환불 요청 이메일이 반송된 사실을 엑스(X·옛 트위터)에 공개했다. 머스크 CEO는 로드스터 2세대를 2017년 공개하면서 2020년 출시하겠다고 밝혔으나, 5년 넘게 지연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머스크 CEO는 "당신은 이 문제가 해결돼 24시간 안에 환불받았다는 걸 언급하는 걸 깜빡했다. 하지만 그게 당신의 본성"이라며 올트먼 CEO가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너는 비영리 단체를 훔쳤다(You stole a non-profit)"는 글을 올리며 오픈AI의 영리화 전환을 비판했다.
올트먼 CEO도 물러서지 않았다. 그는 "당신이 죽도록 방치한 회사를 세계 최대의 비영리 단체로 바꾸는 데 내가 도움을 줬다"며 "지금의 오픈AI 구조가 그걸 가능하게 했다"고 응수했다. 그는 또 "당신은 과거 테슬라가 오픈AI를 인수하길 원했지만 그건 전혀 비영리 취지와 맞지 않았다"며 "그때는 성공 확률이 0%라 했지만, 지금은 당신도 훌륭한 AI 기업을 갖고 있고 우리도 그렇다. 이제 그만 넘어가자"고 했다.
머스크 CEO와 올트먼 CEO는 2015년 비영리 AI 연구기관 오픈AI를 공동 설립했다. 하지만 머스크 CEO가 2018년 이사회에서 물러나고, 2023년 경쟁사 '엑스AI(xAI)'를 창립하면서 두 사람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됐다.
머스크 CEO는 오픈AI가 2022년 챗GPT 출시 후 급성장하자 "오픈소스·비영리 원칙이 사라지고 마이크로소프트(MS)가 통제하는 폐쇄형 이익기업이 됐다"며 공개적으로 비판해왔다. 그는 올해 초 오픈AI와 올트먼 CEO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비영리에서 영리 기업으로의 전환은 설립 취지를 위반한 사기"라고 주장했다.
한편 오픈AI는 지난 10월 영리 기업으로의 구조 개편을 마무리했다. 비영리 부문은 '오픈AI 재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약 1300억달러 규모의 영리법인 지분을 보유하게 됐다. 오픈AI 측은 "이는 사상 가장 자원이 풍부한 자선단체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영리 부문인 오픈AI 그룹(OpenAI Group PBC) 역시 동일한 사명 아래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