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가 한국과 인공지능(AI) 협력을 강화한다. 한국 정부와 주요 기업들이 AI를 위해 26만 개의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추가 도입하기로 했다. 엔비디아는 10월 31일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삼성전자와 SK, 현대차, 네이버 등 국내 주요 기업들도 관련 계획을 잇달아 공개했다.
●삼성·SK AI팩토리 구축
한국의 주요 기업들은 엔비디아 GPU를 활용해 AI 팩토리를 구축하기로 했다.
삼성은 GPU 5만 개 이상을 탑재한 AI 팩토리를 구축해 지능형 제조를 발전시키고, 제품과 서비스 전반에 AI를 적용한다.
SK그룹은 반도체 연구·개발·생산을 고도화하고, 디지털트윈과 AI 에이전트 개발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을 위해 5만 개 이상의 GPU를 탑재할 수 있는 AI 팩토리를 설계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엔비디아와 모빌리티, 스마트 팩토리, 온디바이스 반도체 전반에 걸쳐 협력할 예정이다. 양사는 AI 모델 훈련과 배포를 위해 5만 개의 블랙웰 GPU를 기반으로 협력을 추진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소버린 AI와 피지컬 AI용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최대 6만 개의 GPU를 도입할 예정이다
젠슨황 엔비디아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대한민국은 기술과 제조 분야에서 선도적 입지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이 AI 산업 혁명의 중심에 서 있음을 보여준다”며 “한국의 물리적 공장이 정교한 선박, 자동차, 반도체, 전자제품으로 세계에 영감을 주었듯, 이제는 인텔리전스라는 새로운 수출품을 생산하며 글로벌 변화를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6G 인프라도 협력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업과 산업 전반의 독자 AI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엔비디아 GPU 5만 개 도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 클라우드 파트너인 네이버클라우드와 NHN클라우드, 카카오가 국가 독자 클라우드 내 컴퓨팅 인프라를 확장하기 위해 블랙웰 등 GPU 1만3000개를 초기 도입하는 것을 시작으로, 향후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등을 통해 수년간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인프라는 연구기관, 스타트업, AI 기업들이 모델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엔비디아는 또 한국의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과 AI-RAN과 6G 인프라 개발에도 함께한다. 엔비디아는 최근 삼성전자, SK텔레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T, LG유플러스, 연세대와 협력해 지능형·저전력 AI-RAN 네트워크 기술을 공동 개발 중이다. AI-RAN은 기지국과 네트워크 서버 사이에 오가는 트래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차세대 통신망 기술이다.
엔비디아는 이 외에도 LG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NC AI, SK텔레콤, 업스테이지가 독자 모델을 개발하는데 협력하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양자 컴퓨팅 및 과학 발전을 위한 공동연구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