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300][APEC 정상회의]
(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일 경북 경주시 소노캄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한중 국빈만찬을 마친 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환송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SNS.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1.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 정상이 합의한 원자력추진잠수함(SSN·이하 핵잠수함) 도입이 실현되려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상당한 외교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과는 중국 견제 차원에서 핵연료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한미 원자력협정에 나서야 한다면 중국과는 '제2의 사드(THAAD)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관리 외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다.
정재흥 세종연구소 중국연구센터장은 2일 머니투데이 더300(the300)과의 통화에서 "미중 경쟁이 격화하는 과정에서 한국이 미국을 대신해 군함과 핵잠수함 등을 건조한다면 한국에 불똥이 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핵잠수함을 건조하고 실전 배치하는 과정에서 미중 갈등이 격화하지 않도록 한국이 긴장을 완화하는 외교적 노력을 펼치는게 가장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중 간 갈등이 격화할수록 중국은 한국에 대한 견제 수위를 높일 수 있는 만큼 두 나라 사이에서 한국이 중재자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의미다. 특히 미중이 동중국해·남중국해·서해 등 해상에서 갈등의 소지가 있는 점을 고려해 한국이 미중과 일본, 러시아 등이 참여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보 협의체'를 만들어 긴장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국의 핵추진잠수함(SSN) 개발 추진 일지 / 그래픽=윤선정 디자인기자정 센터장은 "과거와 같이 한미일 대 북중러 진영구도가 형성된다면 경제는 물론 핵잠수함 도입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며 "한국이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5자가 아·태 지역 내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협의체를 만들어 핵잠수함 도입까지 경제·안보적 피해가 없도록 관리를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중국 상무부는 지난달 14일 한미 조선업 협력의 상징인 '마스가'(MASGA·) 프로젝트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 5곳을 지정해 거래를 금지하는 제재를 발표한 바 있다. 중국은 2016년 7월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반발해 우리나라에 경제 보복을 가했다. 당시 한국은행은 중국의 보복으로 3년 간 약 21조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이유로 핵잠수함 도입까진 '대중 외교'가 중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디젤잠수함은 잠항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북한이나 중국 측 잠수함에 대한 추적활동에 제한이 있다"고 말했다. 중국을 북한과 같은 부류로 분류한 만큼 추후 중국이 이를 문제 삼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부산 로이터=뉴스1) 강민경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 김해공항에서 만나 회담하기 전 악수를 나누며 서로를 응시하고 있다. 2025.10.30 ⓒ 로이터=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부산 로이터=뉴스1) 강민경 기자다만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핵잠수함 으로 인해 한중이 갈등을 빚을 수 있지만 한국에 대놓고 반대 입장을 내긴 어려울 것"이라며 "불법적으로 핵을 개발한 북한에 대해선 말을 못하는 상황에서 핵추진연료를 쓰겠다는 한국을 압박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한국은 철저히 방어적 목적에서 핵잠수함을 활용한다는 입장을 중국과 소통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의 협상에선 '핵연료' 관련 협상이 핵잠수함 도입에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핵잠수함을 건조해 운용하려면 20% 이상 고농축 우라늄이나 20% 미만 저농축 우라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핵연료를 미국으로부터 수입하거나, 우리가 자체적으로 농축 역량과 시설을 확보하려면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이 필요하다.
핵잠수함 연료로 농축 우라늄을 확보하기 위해선 비군사적, 평화적 목적에 국한된 기존 한미 원자력협정과는 별도로 새 협정을 맺어야 할 가능성도 있다. 아울러 군사적 목적의 농축 우라늄 확보를 위해서는 미국 의회의 승인이라는 관문도 넘어야 한다.
☞원자력추진잠수함(SSN)이란?
잠수함(Submarine)을 뜻하는 'SS'와 원자력추진(Nuclear powered)의 'N'을 붙여 SSN이라고 부른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해 공격자산으로 분류되는 전략핵잠수함(SSBN)과 다른 개념이다. 원자력을 동력으로 활용하며 핵폭발장치 등으로는 볼 수 없어 핵확산금지조약(NPT)에 위배되지 않는다. 한국은 추후 SSN 개발 시 NPT 체제에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등에 협조한단 방침이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 정상이 합의한 원자력추진잠수함(SSN·이하 핵잠수함) 도입이 실현되려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상당한 외교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과는 중국 견제 차원에서 핵연료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한미 원자력협정에 나서야 한다면 중국과는 '제2의 사드(THAAD)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관리 외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다.
정재흥 세종연구소 중국연구센터장은 2일 머니투데이 더300(the300)과의 통화에서 "미중 경쟁이 격화하는 과정에서 한국이 미국을 대신해 군함과 핵잠수함 등을 건조한다면 한국에 불똥이 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핵잠수함을 건조하고 실전 배치하는 과정에서 미중 갈등이 격화하지 않도록 한국이 긴장을 완화하는 외교적 노력을 펼치는게 가장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중 간 갈등이 격화할수록 중국은 한국에 대한 견제 수위를 높일 수 있는 만큼 두 나라 사이에서 한국이 중재자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의미다. 특히 미중이 동중국해·남중국해·서해 등 해상에서 갈등의 소지가 있는 점을 고려해 한국이 미중과 일본, 러시아 등이 참여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보 협의체'를 만들어 긴장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실제로 중국 상무부는 지난달 14일 한미 조선업 협력의 상징인 '마스가'(MASGA·) 프로젝트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 5곳을 지정해 거래를 금지하는 제재를 발표한 바 있다. 중국은 2016년 7월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반발해 우리나라에 경제 보복을 가했다. 당시 한국은행은 중국의 보복으로 3년 간 약 21조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이유로 핵잠수함 도입까진 '대중 외교'가 중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디젤잠수함은 잠항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북한이나 중국 측 잠수함에 대한 추적활동에 제한이 있다"고 말했다. 중국을 북한과 같은 부류로 분류한 만큼 추후 중국이 이를 문제 삼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미국과의 협상에선 '핵연료' 관련 협상이 핵잠수함 도입에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핵잠수함을 건조해 운용하려면 20% 이상 고농축 우라늄이나 20% 미만 저농축 우라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핵연료를 미국으로부터 수입하거나, 우리가 자체적으로 농축 역량과 시설을 확보하려면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이 필요하다.
핵잠수함 연료로 농축 우라늄을 확보하기 위해선 비군사적, 평화적 목적에 국한된 기존 한미 원자력협정과는 별도로 새 협정을 맺어야 할 가능성도 있다. 아울러 군사적 목적의 농축 우라늄 확보를 위해서는 미국 의회의 승인이라는 관문도 넘어야 한다.
☞원자력추진잠수함(SSN)이란?
잠수함(Submarine)을 뜻하는 'SS'와 원자력추진(Nuclear powered)의 'N'을 붙여 SSN이라고 부른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해 공격자산으로 분류되는 전략핵잠수함(SSBN)과 다른 개념이다. 원자력을 동력으로 활용하며 핵폭발장치 등으로는 볼 수 없어 핵확산금지조약(NPT)에 위배되지 않는다. 한국은 추후 SSN 개발 시 NPT 체제에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등에 협조한단 방침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