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0, 11월 중력파 관측으로 발견한
블랙홀 병합 사건 2건 특징 분석해보니
"블랙홀끼리 합쳐지며 진화한다는 가설 근거"
블랙홀 쌍성이 합쳐지는 모습의 상상도. 스윈번공대 제공
인류가 할 수 있는 가장 어려운 과학 관측으로 꼽히는 '중력파 관측'을 통해 국제 연구팀이 블랙홀의 진화에 대한 실마리를 포착했다. 연구팀은 최근 관측한 두 건의 '블랙홀 병합' 현상을 분석한 결과, 한 블랙홀이 인접한 다른 블랙홀을 삼키면서 무게와 규모를 키우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2일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은 국제 라이고(미국)-비르고(유럽)-카그라(일본) 협력단이 지난해 10월과 11월 관측된 두 건의 블랙홀 병합 사례를 분석해 △블랙홀의 형성과 진화 △일반상대성이론 근본 원리를 검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에 지난달 28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국내 연구자 10여 명이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중력파 관측은 블랙홀 병합을 알아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허블 망원경 등 우리에게 잘 알려진 우주망원경은 빛(전자기파)을 감지하는 장치인데, 두 블랙홀이 병합하는 과정에선 빛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블랙홀 병합 순간에 시공간의 뒤틀림과 함께 발생하는 중력파 탐지를 통해서만 블랙홀의 비밀에 접근할 수 있다. 관측되는 신호의 크기가 원자핵 크기의 1,000분의 1 수준으로 아주 약하지만, 빛으로 볼 수 없는 우주의 비밀을 담고 있어 '우주의 속삭임' 또는 '시공간의 지문'이라 불리기도 한다.
최근 확인된 두 블랙홀 병합 현상의 특징은 △지금껏 볼 수 없었던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블랙홀이 포함됐고 △주 블랙홀의 자전 방향과 쌍성의 공전 방향이 반대였다는 점이다. 두 현상은 발견 날짜를 따 GW241011, GW241110으로 명명됐다. GW241011은 약 7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태양 질량의 20배와 6배에 달하는 두 블랙홀이 합쳐지면서 발생했는데, 이 중 더 무거운 블랙홀은 지금까지 중력파로 확인된 블랙홀 가운데 가장 빠르게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GW241110은 약 24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태양 질량의 16배와 8배인 블랙홀 간 충돌로 일어났으며, 중력파 관측 사상 처음으로 주 블랙홀의 자전 방향이 쌍성의 공전 방향과 반대였다.
연구팀은 이런 특징들이, 블랙홀이 다른 블랙홀을 삼키며 커지는 '계층적 병합'이 반복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라고 분석했다. 김정리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블랙홀들이 병합을 겪으며 점차 무거워질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고, 강궁원 중앙대 물리학과 교수는 "블랙홀 두 개가 만들어지며 쌍성을 이룰 땐 자전과 공전 방향이 같지만, 이번 사건처럼 자전과 공전 방향이 다른 경우는 따로 만들어진 블랙홀이 충돌해 쌍성을 이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블랙홀 병합 사건 2건 특징 분석해보니
"블랙홀끼리 합쳐지며 진화한다는 가설 근거"
인류가 할 수 있는 가장 어려운 과학 관측으로 꼽히는 '중력파 관측'을 통해 국제 연구팀이 블랙홀의 진화에 대한 실마리를 포착했다. 연구팀은 최근 관측한 두 건의 '블랙홀 병합' 현상을 분석한 결과, 한 블랙홀이 인접한 다른 블랙홀을 삼키면서 무게와 규모를 키우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2일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은 국제 라이고(미국)-비르고(유럽)-카그라(일본) 협력단이 지난해 10월과 11월 관측된 두 건의 블랙홀 병합 사례를 분석해 △블랙홀의 형성과 진화 △일반상대성이론 근본 원리를 검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에 지난달 28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국내 연구자 10여 명이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중력파 관측은 블랙홀 병합을 알아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허블 망원경 등 우리에게 잘 알려진 우주망원경은 빛(전자기파)을 감지하는 장치인데, 두 블랙홀이 병합하는 과정에선 빛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블랙홀 병합 순간에 시공간의 뒤틀림과 함께 발생하는 중력파 탐지를 통해서만 블랙홀의 비밀에 접근할 수 있다. 관측되는 신호의 크기가 원자핵 크기의 1,000분의 1 수준으로 아주 약하지만, 빛으로 볼 수 없는 우주의 비밀을 담고 있어 '우주의 속삭임' 또는 '시공간의 지문'이라 불리기도 한다.
최근 확인된 두 블랙홀 병합 현상의 특징은 △지금껏 볼 수 없었던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블랙홀이 포함됐고 △주 블랙홀의 자전 방향과 쌍성의 공전 방향이 반대였다는 점이다. 두 현상은 발견 날짜를 따 GW241011, GW241110으로 명명됐다. GW241011은 약 7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태양 질량의 20배와 6배에 달하는 두 블랙홀이 합쳐지면서 발생했는데, 이 중 더 무거운 블랙홀은 지금까지 중력파로 확인된 블랙홀 가운데 가장 빠르게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GW241110은 약 24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태양 질량의 16배와 8배인 블랙홀 간 충돌로 일어났으며, 중력파 관측 사상 처음으로 주 블랙홀의 자전 방향이 쌍성의 공전 방향과 반대였다.
연구팀은 이런 특징들이, 블랙홀이 다른 블랙홀을 삼키며 커지는 '계층적 병합'이 반복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라고 분석했다. 김정리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블랙홀들이 병합을 겪으며 점차 무거워질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고, 강궁원 중앙대 물리학과 교수는 "블랙홀 두 개가 만들어지며 쌍성을 이룰 땐 자전과 공전 방향이 같지만, 이번 사건처럼 자전과 공전 방향이 다른 경우는 따로 만들어진 블랙홀이 충돌해 쌍성을 이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