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전 MLOps 도구서 생성형AI LLMOps 도구로 진화
- 6일 과총서 세미나, 노코드 신경망개발 프레임워크 공개
- 6일 과총서 세미나, 노코드 신경망개발 프레임워크 공개
| ETRI 연구진이 개발한 인공지능 응용SW 개발 프레임워크 ‘탱고 MLOps’의 자율운행선박 시뮬레이션 결과를 시연하고 있다.[ETRI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노코드 기반으로 신경망을 자동생성하고 배포 과정까지 자동화하는 기계학습 개발도구(MLOps)의 핵심기술을 오픈소스로 깃허브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개발한 프레임워크인 탱고(TANGO)를 오는 6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깃허브 커뮤니티 확산을 위한 제4회 공개 세미나를 개최한다.
탱고 프레임워크란 인공지능이 적용된 응용SW를 자동으로 개발하고, 클라우드, 쿠버네티스 온프레미스 환경, 온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 HW 환경에 맞게 최적화해 배포해주는 기술이다.
예컨대 철강공장에서 품질검사시 철강 데이터의 불량여부 판단은 쉽게 하나, AI의 적용이 쉽지 않았다. 병원의 의사 또한 폐결핵 X-레이 사진만 봐도 손쉽게 병명 판정은 쉬우나 AI로 자동예측하는 모델의 활용은 어려운 게 사실이었다.
ETRI가 만든 탱고 프레임워크는 이처럼 관련분야 전문지식은 있지만 데이터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실행해주는 신경망 처리분야에 적합하다.
이용도 쉬워 깃허브에 있는 설치방법을 통해 간단한 명령으로 자동설치되며, 웹 접속을 통해 바로 실행된다.
기존 인공지능 응용SW 개발 방식에서 데이터 라벨링은 도메인 전문가가 담당하고, 인공지능 모델 개발·학습 및 응용SW의 설치·실행은 SW개발자가 직접 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인공지능 기술의 확산과 함께 전 산업에서 SW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반면,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인공지능·SW 전문가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ETRI는 이와 같은 국내 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 객체 인식에 최적화된 신경망 자동화 개발 알고리즘을 개발 완료하고 이를 최종 공개했다.
또한 ETRI는 생성형AI 개발을 지원하는 LLMOps 도구도 함께 공개했다.
탱고 개발 과정에서 24개의 국내외 특허, NeurIPS 논문 3편 발표 및 SCI 논문 13편, 기술이전 4건 및 100억원 사업화 매출을 달성했다.
자율항해솔루션기업인 에이브노틱스는 탱고 기술이전을 통해 출연연의 우수 연구성과를 사업화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공공연구성과 확산 및 실용화사업”에 선정되었으며, 한국과학기술지주(5억원), 신용보증기금(5억원), 로우파트너스(3억원)로부터 13억원(기업가치 98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 인공지능 응용SW 개발 프레임워크 ‘탱고 MLOps’ 배포 시스템의 온디바이스 하드웨어 플랫폼.[ETRI 제공] | 
연구진은 핵심기술 개발 완료에 이어, 공동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실증을 통해 보급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공동연구기관인 ㈜웨다에서는 철강과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 2개 기업을 대상으로 현장 직원들이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 서비스를 구축했다.
서울대병원은 대규모의 흉부 CT 영상과 판독문 데이터를 활용해, CT 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질환 판독문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개발된 기술은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4개 병원(서울대병원, 서울대분당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 보라매병원)에서 심폐혈관 질환 예측 서비스를 실증하며, 실제 임상 데이터를 통해 평가·검증될 예정이다.
특히 생성형AI 개발을 지원하는 LLMOps 도구는 ㈜아크릴과의 협업을 통하여 바로 사업화 가능하도록 진행 중이다.
아크릴의 상용제품인 조나단(Jonathan) 소스 코드를 깃허브에 모두 공개하고 있으며, 핵심 알고리즘을 추가하고 산업 특화 생성형AI 적용을 위한 표준 운영 환경 구축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김태호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SW PM은 “탱고(TANGO) 기술은 명실공히 대한민국 최고의 공개SW 과제로써 인공지능 개발도구 분야에서 국내 SW산업 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조창식 ETRI 책임연구원은 “기존 비전 신경망을 활용한 탱고 프로젝트를 확장하여 생성형AI를 지원하는 LLMOps 도구 분야로 깃허브 프로젝트를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향후에도 개발 과정의 모든 노하우를 공개하고, 실증을 통해 산업체에서 바로 사업화 가능한 솔루션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