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 최신 GPU 26만장 확보…'AI 3대 강국' 도약 발판 마련
조준희 "정부와 주요 대기업 원팀돼 감명…AI 산업 대표해 감사"
	
		
	
[경주=뉴시스] 최동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 장소인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악수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5.10.3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경북 경주에서 각국 정상과 글로벌 기업인들을 잇달아 만나며 외교 성과를 거두자 인공지능(AI)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특히 APEC 정상회의 기간 정부는 엔비디아 및 국내 주요 기업과 협력을 공식화하며 최신 GPU(그래픽처리장치) 26만장 이상을 확보했다. 이를 두고 'AI 3대 강국'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이 가운데 약 5만장을 공공 부문에, 20만장을 삼성전자·현대자동차·네이버 등 주요 기업에 공급하기로 하며, 국가 차원의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조준희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은 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부와 주요 대기업 경영인들이 원팀이 돼 글로벌 탑티어 기업과의 연대를 끌어내는 헌신적인 노력과 국가적인 성취가 크게 감명을 줬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상회의 기간에 정부와 삼성, 현대차, 네이버 등 주요 기업이 엔비디아의 최신 GPU를 26만장 이상 확보했으며 이를 통해 공공 및 민간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고, 하드웨어 설치를 넘어 엔비디아와 구축·운용 기술 협업도 병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또 "정부, 엔비디아와 기업들과의 발표와 MOU가 있었고,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공공 부문에 약 5만장,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국내 주요 기업에 20만장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AI 3대 강국'과 AI 기본사회'를 목표로 기술 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는데 엔비디아와 한국 기업 간 긴밀한 협업은 글로벌 협력의 대표사례가 될 것"이라고 반색했다.
	
		
	
[서울=뉴시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블랙웰' 등 자사의 차세대 GPU 26만 장을 한국 정부 및 기업들에 우선 공급한다고 31일 밝혔다. 당초 정부는 AI(인공지능) 컴퓨팅 강화를 위해 올해 말까지 GPU 1만 장, 2028년 5만 장, 2030년 20만 장 이상 확보를 목표로 삼았다. 이 목표를 10만장 이상 웃돌게 됐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조 협회장은 "주요 정부 부처, 국회 및 민간으로 구성된 '피지컬AI글로벌얼라이언스'에서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분과위를 책임지고 있는 현대차는 엔비디아와 AI 자율주행차, AI 자율제조 등 피지컬 AI 기술개발과 특화 인재 양성을 추진하고 있다"며 "솔루션(실증,사업화) 분과를 맡고 있는 네이버는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및 AI 기반 SDV 등 피지컬 AI 경쟁력 강화에 나설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모빌리티 솔루션, 차세대 스마트 팩토리, 온디바이스 반도체 혁신 등을 위한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도 엔비디아 GPU를 활용해 반도체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에 나서기로 했고 HBM 공급 확대 등 우리 기업과 엔비디아의 파트너십 강화 방안도 논의됐다"고 했다.
그는 "엔비디아는 국내 산·학·연과 양자 하이브리드 컴퓨팅, 지능형 기지국(AI RAN) 상용화 등 AI 기술 공동연구도 진행하며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에도 나선다"며 "원팀이 되어 글로벌 탑티어 기업과의 연대를 끌어내는 헌신적인 노력과 국가적인 성취에 산업을 대표해 머리숙여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당초 올해 말까지 GPU 1만장, 2028년 5만장, 2030년 20만장 이상을 확보해 AI 3대 강국을 실현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번 엔비디아와의 협업을 통해 단숨에 목표를 달성하게 됐다.
더욱이 이번에 엔비디아가 공급하겠다고 밝힌 GPU는 '블랙웰' 등 차세대 모델로, 기존에 정부가 계획했던 H100 등보다 훨씬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조준희 "정부와 주요 대기업 원팀돼 감명…AI 산업 대표해 감사"
특히 APEC 정상회의 기간 정부는 엔비디아 및 국내 주요 기업과 협력을 공식화하며 최신 GPU(그래픽처리장치) 26만장 이상을 확보했다. 이를 두고 'AI 3대 강국'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이 가운데 약 5만장을 공공 부문에, 20만장을 삼성전자·현대자동차·네이버 등 주요 기업에 공급하기로 하며, 국가 차원의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조준희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은 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정부와 주요 대기업 경영인들이 원팀이 돼 글로벌 탑티어 기업과의 연대를 끌어내는 헌신적인 노력과 국가적인 성취가 크게 감명을 줬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상회의 기간에 정부와 삼성, 현대차, 네이버 등 주요 기업이 엔비디아의 최신 GPU를 26만장 이상 확보했으며 이를 통해 공공 및 민간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고, 하드웨어 설치를 넘어 엔비디아와 구축·운용 기술 협업도 병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또 "정부, 엔비디아와 기업들과의 발표와 MOU가 있었고,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공공 부문에 약 5만장,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국내 주요 기업에 20만장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AI 3대 강국'과 AI 기본사회'를 목표로 기술 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는데 엔비디아와 한국 기업 간 긴밀한 협업은 글로벌 협력의 대표사례가 될 것"이라고 반색했다.
아울러 "모빌리티 솔루션, 차세대 스마트 팩토리, 온디바이스 반도체 혁신 등을 위한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도 엔비디아 GPU를 활용해 반도체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에 나서기로 했고 HBM 공급 확대 등 우리 기업과 엔비디아의 파트너십 강화 방안도 논의됐다"고 했다.
그는 "엔비디아는 국내 산·학·연과 양자 하이브리드 컴퓨팅, 지능형 기지국(AI RAN) 상용화 등 AI 기술 공동연구도 진행하며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에도 나선다"며 "원팀이 되어 글로벌 탑티어 기업과의 연대를 끌어내는 헌신적인 노력과 국가적인 성취에 산업을 대표해 머리숙여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당초 올해 말까지 GPU 1만장, 2028년 5만장, 2030년 20만장 이상을 확보해 AI 3대 강국을 실현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번 엔비디아와의 협업을 통해 단숨에 목표를 달성하게 됐다.
더욱이 이번에 엔비디아가 공급하겠다고 밝힌 GPU는 '블랙웰' 등 차세대 모델로, 기존에 정부가 계획했던 H100 등보다 훨씬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