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정말 많이 보이네요. ‘루미‘들 손들어보세요“.
31일(현지 시각) 오전 11시쯤 미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의 한 사립초등학교 강당. 할로윈 행사의 사회를 맡은 교사가 저마다 다양한 코스튬(특별 의상)을 입고 줄지어 앉은 학생들을 보며 이렇게 말했다. 할로윈을 맞이해 이날 오전부터 미국 내 학교들에선 학생들이 코스튬 의상을 입고 학교 곳곳을 돌며 사탕을 받거나, 퍼레이드를 하는 행사가 열렸다. 할로윈은 매년 10월 31일 죽은 영혼을 달래고 악령을 쫓기 위해 분장을 하고 축제를 즐기는 서양 전통 명절이다.
가장 인기있는 코스튬은 케데헌의 ‘루미’였다. 루미는 케데헌에 나오는 K팝 아이돌 그룹 ‘헌트릭스’의 멤버다. 이날 루미처럼 보라색 머리를 땋고, 한국 전통 장신구 노리개가 그려진 무대의상을 입은 여학생들이 반마다 수 명씩 보였다. 7세 여자아이를 키우는 학부모 임씨는 케데헌 ‘헌트릭스’의 멤버인 미라 코스튬을 입고 학교를 찾았다. 그는 “3주 전부터 온라인 쇼핑몰에서 ’루미‘ 의상을 주문했고, 오늘 오전 6시에 일어나 딸의 머리를 땋고, 진짜 루미처럼 얼굴과 몸에 핑크색 펜으로 번개모양도 그려넣었다“며 ”딸과 함께 사진을 찍기 위해 분홍 헤어스프레이로 머리와 눈썹을 물들였다“고 했다.
한국계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데헌’이 미 할로윈을 장악했다. 한복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K팝 아이돌그룹의 의상이 할로윈 시기 미 전역 곳곳에서 보였다. 케데헌은 출시 직후 넷플릭스 글로벌 영화 부문 22국 1위를 기록하고, 스트리밍 91일 동안 3억 2000만뷰를 기록하며 넷플릭스 사상 최대 뷰 수 영화에 등극한 바 있다. 대표 OST인 ‘골든’은 미 빌보드 ‘핫 100’, 영국 싱글차트 등에서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인근 프리스쿨(만 2~5세 교육 기관)에서도 비슷한 광경이 펼쳐졌다. 사탕을 받기 위해 줄이어 서 있는 유아 10명 중 4명이 루미, 미라 등 케데헌 캐릭터 분장을 하고 있었다. 스파이더맨, 백설공주, 마리오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캐릭터들 사이 케데헌이 가장 많은 인기를 끄는 것이다. 9살과 7살 딸을 키우는 제스 블레이크씨는 “어디에나 루미가 있다”며 “겨울왕국 엘사도, 위키드의 글린다도 실종됐다“고 했다.
케데헌에 등장하는 남자아이돌 그룹 ‘사자보이즈’ 멤버들처럼 갓을 쓰고 저승사자 분장을 하는 남학생들도 있었다. 케데헌에서 주인공 루미를 지켜주는 존재인 파란 호랑이처럼 꾸며진 호박도 곳곳에 전시돼있었다.
케데헌 의상은 미 전역에서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뉴욕포스트는 전날 “케데헌 의상들이 대히트를 치면서 뉴욕 상점 곳곳에서 구할 수 없게 됐다“고 보도했다. 넷플릭스는 공식 코스튬 수요가 예상보다 훨씬 많아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도 했다. 미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케데헌 코스튬을 구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학부모들의 사연을 소개하며 ”루미나 미라 코스튬을 못 구해 아이들이 울고불고 난리가 났다고 한다”고 했다. 코스튬의 가격대는 다양하지만 수제 제품이나 프리미엄 제품 중엔 100달러가 넘어가는 고가 제품도 많다.
미 할로윈 파티 현장에서 K팝, K드라마의 코스튬이 보이는 것은 이제 흔한 풍경이 됐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엔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의 코스튬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기도 했다. 미 CBS는 2021년 “오징어 게임 열풍이 전 세계 할로윈 파티에서 이어졌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