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일본 반도체 소재 업체들이 한국에서 잇따라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TOK첨단재료㈜ 평택 공장 착공식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쿄오카공업(TOK)은 약 200억엔(약 1천850억원)을 들여 경기 평택시에 포토레지스트 제조공장을 짓고 있다.
포토레지스트는 실리콘 웨이퍼에 회로를 그리는 데 사용되는 반도체 핵심 소재다.
도쿄오카공업은 2030년부터 이 공장을 가동해 삼성전자 등에 포토레지스트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또 120억엔(약 1천110억원)을 들여 반도체 제조공정용 고순도 화학약품 공장을 한국에서 짓는 계획도 추진 중이다.
또 다른 일본 업체인 JSR도 2026년말 가동을 목표로 한국에서 메탈포토레지스트(MOR) 공장을 짓고 있다.
이에 대해 닛케이는 "인공지능(AI) 붐을 배경으로 왕성해진 반도체 수요에 부응하려는 것"이라며 일본 내에서도 소재 업체들의 설비 투자가 줄을 잇고 있다고 전했다.
닛토보는 첨단 반도체에 사용되는 특수 유리 소재 생산능력을 늘리기 위해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후쿠시마에서 공장을 신설 중이고 아사히카세이는 시즈오카현 공장 내 첨단반도체용 절연 재료 라인을 증설하고 있다.
evan@yna.co.kr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쿄오카공업(TOK)은 약 200억엔(약 1천850억원)을 들여 경기 평택시에 포토레지스트 제조공장을 짓고 있다.
포토레지스트는 실리콘 웨이퍼에 회로를 그리는 데 사용되는 반도체 핵심 소재다.
도쿄오카공업은 2030년부터 이 공장을 가동해 삼성전자 등에 포토레지스트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또 120억엔(약 1천110억원)을 들여 반도체 제조공정용 고순도 화학약품 공장을 한국에서 짓는 계획도 추진 중이다.
또 다른 일본 업체인 JSR도 2026년말 가동을 목표로 한국에서 메탈포토레지스트(MOR) 공장을 짓고 있다.
이에 대해 닛케이는 "인공지능(AI) 붐을 배경으로 왕성해진 반도체 수요에 부응하려는 것"이라며 일본 내에서도 소재 업체들의 설비 투자가 줄을 잇고 있다고 전했다.
닛토보는 첨단 반도체에 사용되는 특수 유리 소재 생산능력을 늘리기 위해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후쿠시마에서 공장을 신설 중이고 아사히카세이는 시즈오카현 공장 내 첨단반도체용 절연 재료 라인을 증설하고 있다.
evan@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