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엔비디아, 한국 정부·기업에 26만장 AI GPU 공급
"삼성·SK 없이는 현재 반도체 생태계 존재하지 않았을 것"
"수십만 개의 AI 유닛 구축⋯한국, 아시아의 AI 허브 될 것" "한국은 세계적인 반도체 중심지 중 하나로 큰 기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열정과 기술력 그리고 아름다움이 함께하는 완벽한 예라고 생각합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31일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원화홀에서 열린 '엔비디아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
앞서 이날 황 CEO는 엔비디아 인공지능(AI) 가속기(GPU) 약 26만 장을 한국 정부와 삼성·SK·현대차·네이버 등이 먼저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는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1기에 필요한 10만~15만 개의 GPU를 고려할 때 국내에 최소 2기 이상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수 있는 규모다.
이에 대해 황 CEO는 "기존 물량에 더해 한국을 선도적 AI 국가로 올리는 것"이라며 "이후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개방형 모델과 스타트업·대학 협력을 확충하고 해외 기업의 AI 워크로드 유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정부는 세계 최초로 대규모 AI 투자를 시작했으며 그 규모는 15만 단위를 넘는다"며 "이는 매우 큰 진전"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반도체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에 대한 질문에 황 CEO는 "삼성과 SK 두 회사 모두 훌륭한 파트너"라며 "경쟁은 항상 존재하지만 한국은 중요한 파트너다. 삼성과 SK 없이는 현재 반도체 생태계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 회사는 집중, 다른 회사는 다변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며 "각각 장점이 있고 두 회사 모두 필요하다. 한국의 스케일이 엔비디아 성장을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또 "우리는 모두 함께 성장해야 한다"며 "두 회사가 기술 경쟁을 하면서도 협력 구조를 만들어간다면 산업 전체가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 로비에서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
고대역폭 메모리(HBM) 협력에 대해서는 "HBM3E·HBM4 모두 한국 기업들과 협력 중"이라며 "삼성·SK하이닉스와의 장기 파트너십에 100%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국 내 투자 계획과 관련해서는 "한국 정부와 협력해 수십만 개의 AI 유닛을 구축할 계획이며 한국은 아시아의 AI 허브가 될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AI 인프라를 구축하면 세계 각국의 스타트업과 기업들이 한국에 투자할 것"이라며 "오늘 발표된 새로운 엔진은 한국의 AI 스타트업과 연구 커뮤니티가 함께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의료, 과학, 제조 등 거의 모든 산업이 이를 통해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한국 국민께 감사드린다"며 "엔비디아가 아주 작은 회사였던 시절부터 한국은 항상 따뜻하게 환영해 줬다. 지난 30년간 삼성, SK, 그리고 여러 협력사와 항상 함께해왔으며 이제 우리는 함께 AI의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SK 없이는 현재 반도체 생태계 존재하지 않았을 것"
"수십만 개의 AI 유닛 구축⋯한국, 아시아의 AI 허브 될 것" "한국은 세계적인 반도체 중심지 중 하나로 큰 기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열정과 기술력 그리고 아름다움이 함께하는 완벽한 예라고 생각합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31일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원화홀에서 열린 '엔비디아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이날 황 CEO는 엔비디아 인공지능(AI) 가속기(GPU) 약 26만 장을 한국 정부와 삼성·SK·현대차·네이버 등이 먼저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는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1기에 필요한 10만~15만 개의 GPU를 고려할 때 국내에 최소 2기 이상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수 있는 규모다.
이에 대해 황 CEO는 "기존 물량에 더해 한국을 선도적 AI 국가로 올리는 것"이라며 "이후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개방형 모델과 스타트업·대학 협력을 확충하고 해외 기업의 AI 워크로드 유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정부는 세계 최초로 대규모 AI 투자를 시작했으며 그 규모는 15만 단위를 넘는다"며 "이는 매우 큰 진전"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반도체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에 대한 질문에 황 CEO는 "삼성과 SK 두 회사 모두 훌륭한 파트너"라며 "경쟁은 항상 존재하지만 한국은 중요한 파트너다. 삼성과 SK 없이는 현재 반도체 생태계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 회사는 집중, 다른 회사는 다변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며 "각각 장점이 있고 두 회사 모두 필요하다. 한국의 스케일이 엔비디아 성장을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또 "우리는 모두 함께 성장해야 한다"며 "두 회사가 기술 경쟁을 하면서도 협력 구조를 만들어간다면 산업 전체가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협력에 대해서는 "HBM3E·HBM4 모두 한국 기업들과 협력 중"이라며 "삼성·SK하이닉스와의 장기 파트너십에 100%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국 내 투자 계획과 관련해서는 "한국 정부와 협력해 수십만 개의 AI 유닛을 구축할 계획이며 한국은 아시아의 AI 허브가 될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AI 인프라를 구축하면 세계 각국의 스타트업과 기업들이 한국에 투자할 것"이라며 "오늘 발표된 새로운 엔진은 한국의 AI 스타트업과 연구 커뮤니티가 함께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의료, 과학, 제조 등 거의 모든 산업이 이를 통해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한국 국민께 감사드린다"며 "엔비디아가 아주 작은 회사였던 시절부터 한국은 항상 따뜻하게 환영해 줬다. 지난 30년간 삼성, SK, 그리고 여러 협력사와 항상 함께해왔으며 이제 우리는 함께 AI의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