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AI] 국내 제조 혁신 이끌 ‘AI 공장’ 가동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31일 경주 APEC CEO 서밋에서 발표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엔비디아(NVIDIA)와 SK그룹이 손잡고 대규모 AI 팩토리 구축에 나선다. 양사는 AI 가속 인프라를 중심으로 반도체 설계, 디지털 트윈, 로보틱스, AI 에이전트 개발을 통합 지원하며 한국형 AI 제조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엔비디아는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 정상회의에서 SK그룹과 공동 AI 팩토리 구축 계획을 공식화했다. SK그룹은 5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를 탑재한 클라우드 기반 AI 팩토리를 2027년 말까지 완공할 예정이며, 완공 시 국내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가 된다.
이번 AI 팩토리는 SK하이닉스(SK hynix), SK텔레콤(SK telecom) 등 그룹 핵심 계열사뿐 아니라 외부 연구기관과 기업에도 GPU 서비스형 모델(GPU-as-a-Service, GPUaaS) 형태로 개방된다. 이를 통해 산업별 AI 개발 속도를 높이고, 정부의 소버린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도 인프라를 제공한다.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는 AI 팩토리의 핵심 구성 요소로 ▲고대역폭메모리(HBM)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 ▲GPU 제조 최적화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쿠다-X(CUDA-X) 기술과 피직스네모(PhysicsNeMo) 프레임워크를 결합해 AI 물리 기반 TCAD(기술 컴퓨터 지원 설계) 시뮬레이션을 가속화한다. 이를 통해 리소그래피(광학 노광), 회로 시뮬레이션, 공정 최적화 속도를 크게 높인다.
또한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옴니버스(Omniverse)와 RTX 프로 서버를 활용해 자율형 팹(fab)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이 시스템은 반도체 생산 현장의 실시간 시뮬레이션과 최적화를 지원해, 가동률과 생산성을 극대화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RTX 프로 6000 블랙웰(Blackwell) GPU를 기반으로 산업용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 초기에는 2000개 이상의 GPU가 투입되며, 국내외 제조·로보틱스·디지털 트윈 워크로드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엔비디아 NIM 마이크로서비스와 AI 엔터프라이즈 플랫폼을 바탕으로 AI 에이전트 개발 인프라를 제공, SK하이닉스 4만여 임직원의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AI 시대의 새로운 제조 공장이 바로 AI 팩토리”라며 “SK그룹은 엔비디아의 핵심적인 메모리 기술 파트너로, GPU 컴퓨팅 플랫폼 혁신을 함께 이끌고 있다”고 밝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협력으로 국내 산업의 AI 전환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차세대 메모리,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AI 에이전트 등 미래 산업 핵심 분야를 아우를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AI 팩토리를 통해 생성된 GPU 연산 자원을 정부와 기업에 개방해 한국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SK텔레콤은 아시아 지역 산업용 AI 클라우드 사업으로 확장하며, 엔비디아는 한국 시장을 ‘AI 제조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엔비디아(NVIDIA)와 SK그룹이 손잡고 대규모 AI 팩토리 구축에 나선다. 양사는 AI 가속 인프라를 중심으로 반도체 설계, 디지털 트윈, 로보틱스, AI 에이전트 개발을 통합 지원하며 한국형 AI 제조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엔비디아는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 정상회의에서 SK그룹과 공동 AI 팩토리 구축 계획을 공식화했다. SK그룹은 5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를 탑재한 클라우드 기반 AI 팩토리를 2027년 말까지 완공할 예정이며, 완공 시 국내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가 된다.
이번 AI 팩토리는 SK하이닉스(SK hynix), SK텔레콤(SK telecom) 등 그룹 핵심 계열사뿐 아니라 외부 연구기관과 기업에도 GPU 서비스형 모델(GPU-as-a-Service, GPUaaS) 형태로 개방된다. 이를 통해 산업별 AI 개발 속도를 높이고, 정부의 소버린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도 인프라를 제공한다.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는 AI 팩토리의 핵심 구성 요소로 ▲고대역폭메모리(HBM)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 ▲GPU 제조 최적화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쿠다-X(CUDA-X) 기술과 피직스네모(PhysicsNeMo) 프레임워크를 결합해 AI 물리 기반 TCAD(기술 컴퓨터 지원 설계) 시뮬레이션을 가속화한다. 이를 통해 리소그래피(광학 노광), 회로 시뮬레이션, 공정 최적화 속도를 크게 높인다.
또한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옴니버스(Omniverse)와 RTX 프로 서버를 활용해 자율형 팹(fab)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이 시스템은 반도체 생산 현장의 실시간 시뮬레이션과 최적화를 지원해, 가동률과 생산성을 극대화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RTX 프로 6000 블랙웰(Blackwell) GPU를 기반으로 산업용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 초기에는 2000개 이상의 GPU가 투입되며, 국내외 제조·로보틱스·디지털 트윈 워크로드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엔비디아 NIM 마이크로서비스와 AI 엔터프라이즈 플랫폼을 바탕으로 AI 에이전트 개발 인프라를 제공, SK하이닉스 4만여 임직원의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AI 시대의 새로운 제조 공장이 바로 AI 팩토리”라며 “SK그룹은 엔비디아의 핵심적인 메모리 기술 파트너로, GPU 컴퓨팅 플랫폼 혁신을 함께 이끌고 있다”고 밝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협력으로 국내 산업의 AI 전환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차세대 메모리,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AI 에이전트 등 미래 산업 핵심 분야를 아우를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AI 팩토리를 통해 생성된 GPU 연산 자원을 정부와 기업에 개방해 한국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SK텔레콤은 아시아 지역 산업용 AI 클라우드 사업으로 확장하며, 엔비디아는 한국 시장을 ‘AI 제조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