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제3회 실패학회’ 개최 
‘AI와 인간의 공존’ 12개팀 아이디어
‘AI와 인간의 공존’ 12개팀 아이디어
| 망한과제 자랑대회 포스터 [KAIST 제공] | 
KAIST는 다음달 5일부터 14일까지 ‘제3회 실패학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KAIST 실패연구소가 주관하며, ‘AI×실패’를 주제로 AI 기술이 이끄는 대전환의 시대에 ‘실패’의 감수성을 통해 인간다움의 가치를 재조명한다.
강연, 경연, 전시, 교류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 이번 학회는 ‘실패’라는 렌즈를 통해 인간과 사회, 기술의 관계를 새롭게 성찰하는 장을 마련한다.
6일 학술문화관 정근모 컨퍼런스홀에서는 실패 세미나 ‘AI 시대, 인간의 길을 묻다’가 열린다.
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는 “AI는 덜 실패하는 법을 배우지만, 인간은 실패할 기회를 잃어가고 있다”는 역설을 통해 AI 시대에 필요한 인간적 감수성과 회복력에 대해 논의한다.
이상욱 한양대학교 철학과 교수는 AI 기술의 발전이 인류의 보편 복지로 이어지기 위한 철학적·윤리적 과제와 실천 방향을 제시한다.
7일 학술문화관 존 해너홀에서는 ‘AI×실패 아이디어 공모전’ 본선이 열린다. 전국 대학(원)생 111개 팀이 참가한 예선을 거쳐 선발된 12개 팀이 ‘AI와 인간이 공존하는 미래’를 주제로 아이디어를 부스 형태로 시연한다.
참가자들은 AI의 오류, 인간의 한계, 신뢰와 회복의 가능성 등을 탐구하며, 기술의 실패를 인간의 성찰로, 인간의 실패를 기술의 가능성으로 전환하는 시도를 선보인다.
본선 당일에는 심사를 통해 대상(KAIST 총장상), 최우수상, 우수상 등이 선정된다.
창의학습관 1층에서는 사진전 ‘404: Perfection Not Found’가 열린다. 이 전시는 포토보이스 프로그램과 AI×실패 스냅샷 챌린지를 통해 KAIST 구성원들이 포착한 ‘불완전함의 장면들’을 선보인다.
5일 학술문화관 존 해너홀에서는 매년 KAIST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얻어온 ‘망한 과제 자랑 대회’가 일반인 참여로 확대 개최된다. 실패연구소와 학생동아리 아이시스츠(ICISTS)가 공동기획한 이번 행사는 참여자들이 사진과 영상 등으로 직접 부스를 꾸며 자신의 실패와 극복의 과정을 공유한다.
청중 투표를 통해 ▷최상(최다 득표) ▷빛나는 잔해상(공감도 높은 실패담) ▷재의 꽃상(극복담) ▷망함의 미학상(창의적 표현) ▷아름다운 잔상(진솔한 여운) 등이 선정된다.
조성호 KAIST 실패연구소장은 “AI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며 세상의 질서를 바꾸고 있는 지금, 인간은 그 속도 너머에서 자신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며 “이번 실패학회가 기술의 혁신 속에서 인간다움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실패는 도전의 또 다른 이름이며, 혁신의 씨앗”이라며 “KAIST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창의적 도전정신을 통해 AI 시대를 선도하고, 인간 중심의 기술 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구본혁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