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력사 혁신·인력 양성 등 전방위 상생협력 활동 우수 평가
	
		
	
지난 2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삼성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10주년 기념행사'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마이데일리 = 윤진웅 기자] 삼성전자는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14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고 31일 밝혔다.
 
동반성장지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2011년부터 동반성장위원회가 매년 발표하는 지표다. 위원회는 “삼성전자가 정도경영을 바탕으로 한 상생협력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1차 협력사뿐 아니라 2·3차 및 미거래 중소기업까지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2009년부터 대학·연구기관·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소개하는 ‘우수기술 설명회’를 통해 협력사의 신기술 확보와 성장동력 발굴을 지원해왔다. 2013년에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공동투자형 기술개발사업’ 기금을 조성해 200억 원을 지원했고, 2022년에는 추가로 3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마련해 2026년까지 차세대 기술 개발을 이어갈 예정이다.
 
또한 2015년부터 거래 관계가 없는 중소기업을 포함해 총 2,300여 건의 특허를 무상으로 양도했으며, 기술·제조·품질 분야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상생협력아카데미 컨설팅센터’를 운영하며 협력사 맞춤형 인력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을 통해서는 2015년 이후 전국 약 3600개 중소기업의 제조 혁신을 도왔다.
 
이와 함께 삼성청년SW·AI아카데미, 삼성희망디딤돌, 삼성드림클래스 등 청년·청소년 교육 프로그램과 삼성 안내견 사업, 다문화청소년 및 노인 디지털교육 지원 등 사회공헌형 상생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마이데일리 = 윤진웅 기자] 삼성전자는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14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고 31일 밝혔다.
동반성장지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2011년부터 동반성장위원회가 매년 발표하는 지표다. 위원회는 “삼성전자가 정도경영을 바탕으로 한 상생협력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1차 협력사뿐 아니라 2·3차 및 미거래 중소기업까지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2009년부터 대학·연구기관·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소개하는 ‘우수기술 설명회’를 통해 협력사의 신기술 확보와 성장동력 발굴을 지원해왔다. 2013년에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공동투자형 기술개발사업’ 기금을 조성해 200억 원을 지원했고, 2022년에는 추가로 3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마련해 2026년까지 차세대 기술 개발을 이어갈 예정이다.
또한 2015년부터 거래 관계가 없는 중소기업을 포함해 총 2,300여 건의 특허를 무상으로 양도했으며, 기술·제조·품질 분야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상생협력아카데미 컨설팅센터’를 운영하며 협력사 맞춤형 인력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을 통해서는 2015년 이후 전국 약 3600개 중소기업의 제조 혁신을 도왔다.
이와 함께 삼성청년SW·AI아카데미, 삼성희망디딤돌, 삼성드림클래스 등 청년·청소년 교육 프로그램과 삼성 안내견 사업, 다문화청소년 및 노인 디지털교육 지원 등 사회공헌형 상생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