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재 행안부 차관,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
이날 낮 12시 기준 90.3% 복구…1등급 100% 완료
"G-드라이브 제외 나머지 데이터 소실 우려 없어"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지난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0.20. scchoo@newsis.com[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정부 전산망 복구율이 90%를 넘어선 가운데, 정부가 모든 시스템의 연내 정상화를 목표로 복구에 속도를 낸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갖고 향후 전산망 복구 계획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기준 전산망 장애 시스템 총 709개 중 640개가 복구돼 화재 35일 만에 전체의 90.3%가 정상화됐다.
특히 국민 일상과 밀접하게 관련된 1등급 시스템은 100% 복구가 완료됐다.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는 지난 28일부터 정상 운영하고 있으며, 행안부 '국민비서'도 같은 날 복구해 건강검진 등 생활 밀착형 알림 서비스를 정상 제공 중이다.
나머지 69개 시스템은 현재 복구 중이다.
이 중 이날 오전 9시 기준 대전센터 내 복구 대상 시스템은 총 693개 중 64개가 남았던 상황으로, 정부는 11월 3주차까지 100% 정상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11월 1주차에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 조사정보 통합시스템'과 국가보훈부 '보훈통계시스템' 등 31개 시스템을 추가로 복구해 95.2%를 정상화한다는 계획이다.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 이전이 확정된 16개 시스템 중에서는 현재 행안부 홈페이지 등 2개 시스템이 이전 복구 완료돼 이날부터 정상 운영 중이다.
정부는 남은 대구센터 이전 시스템 14개 중 소방청 '소방예방정보' 등 10개 시스템은 11월까지 복구하고, 행안부 '스마트워크센터 운영' 등 4개 시스템은 연내 정상화를 목표로 복구를 추진할 방침이다.
김민재 차관은 "대구센터 연계 시스템이 있다 보니까 저희가 예상한 것보다 늦어졌는데, 연내 모든 복구 완료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정부가 시스템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데이터 소실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공무원 전용 내부 클라우드 시스템인 'G-드라이브'는 화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전소됐는데, 외부 백업은 되지 않아 데이터가 소실된 상태다.
특히 업무용 PC 저장 없이 해당 시스템에만 유일하게 정보를 보관해온 인사혁신처는 모든 업무 자료가 통째로 날아갔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다만 "그 외에는 실제로 데이터가 크게 소실된 부분은 없다"며 일부 소실된 보건복지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권익위 데이터 복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경우 전달이 잘못돼 일주일치 데이터가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화재 당일) 하루치 데이터만 소실되고 나머지는 전부 복구됐다"며 "전체의 64%인 400개 정도가 백업 데이터를 통해 복구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복구 예산 추가 확보에도 나설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대전센터의 신속한 복구를 위해 예비비 1521억원을 확보한 바 있다.
김 차관은 "향후 재정 당국과 긴밀히 협의해 대구센터 이전 등을 위한 예비비도 추가 확보해 이전을 안정적으로 완수하겠다"며 "확보한 예비비는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도록 집행 과정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낮 12시 기준 90.3% 복구…1등급 100% 완료
"G-드라이브 제외 나머지 데이터 소실 우려 없어"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갖고 향후 전산망 복구 계획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기준 전산망 장애 시스템 총 709개 중 640개가 복구돼 화재 35일 만에 전체의 90.3%가 정상화됐다.
특히 국민 일상과 밀접하게 관련된 1등급 시스템은 100% 복구가 완료됐다.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는 지난 28일부터 정상 운영하고 있으며, 행안부 '국민비서'도 같은 날 복구해 건강검진 등 생활 밀착형 알림 서비스를 정상 제공 중이다.
나머지 69개 시스템은 현재 복구 중이다.
이 중 이날 오전 9시 기준 대전센터 내 복구 대상 시스템은 총 693개 중 64개가 남았던 상황으로, 정부는 11월 3주차까지 100% 정상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11월 1주차에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 조사정보 통합시스템'과 국가보훈부 '보훈통계시스템' 등 31개 시스템을 추가로 복구해 95.2%를 정상화한다는 계획이다.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 이전이 확정된 16개 시스템 중에서는 현재 행안부 홈페이지 등 2개 시스템이 이전 복구 완료돼 이날부터 정상 운영 중이다.
정부는 남은 대구센터 이전 시스템 14개 중 소방청 '소방예방정보' 등 10개 시스템은 11월까지 복구하고, 행안부 '스마트워크센터 운영' 등 4개 시스템은 연내 정상화를 목표로 복구를 추진할 방침이다.
김민재 차관은 "대구센터 연계 시스템이 있다 보니까 저희가 예상한 것보다 늦어졌는데, 연내 모든 복구 완료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정부가 시스템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데이터 소실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공무원 전용 내부 클라우드 시스템인 'G-드라이브'는 화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전소됐는데, 외부 백업은 되지 않아 데이터가 소실된 상태다.
특히 업무용 PC 저장 없이 해당 시스템에만 유일하게 정보를 보관해온 인사혁신처는 모든 업무 자료가 통째로 날아갔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다만 "그 외에는 실제로 데이터가 크게 소실된 부분은 없다"며 일부 소실된 보건복지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권익위 데이터 복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경우 전달이 잘못돼 일주일치 데이터가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화재 당일) 하루치 데이터만 소실되고 나머지는 전부 복구됐다"며 "전체의 64%인 400개 정도가 백업 데이터를 통해 복구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복구 예산 추가 확보에도 나설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대전센터의 신속한 복구를 위해 예비비 1521억원을 확보한 바 있다.
김 차관은 "향후 재정 당국과 긴밀히 협의해 대구센터 이전 등을 위한 예비비도 추가 확보해 이전을 안정적으로 완수하겠다"며 "확보한 예비비는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도록 집행 과정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