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경제] 
인공지능(AI) 전장이 사용자 확대에서 기업간거래(B2B)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다. 월 20달러 남짓 일반 구독료로는 수익성 확보가 불가능한 상황 속 AI 서비스에 거금을 지불할 기업을 붙잡아야 한다는 판단이다. 신뢰성이 생명인 B2B 분야에서는 8억 명에 달하는 사용자를 지닌 오픈AI 점유율이 급락하고, 앤스로픽·구글이 급성장하는 모습도 관찰된다.
	
		
	
사진제공=멘로벤처스
30일(현지 시간) 오픈AI는 GPT-5 기반 보안 전문 에이전트 ‘아드바크(Aardvark)’를 공개했다. 아드바크는 프로그래밍 소스 코드를 실시간 분석해 취약성을 파악하고 해킹 가능성이 보이면 즉각 보완 패치를 제안해준다. 서버에 대한 외부 해킹을 막아서는 데 앞서, 버그를 알아서 찾아 프로그램 설계 단에서 취약점을 제거한다는 의미다. 오픈AI는 “기존 프로그램 분석 기법에 의존하지 않고 AI 기반 추론으로 코드 동작을 이해하고 취약점을 식별한다”며 “보안 연구원이 코드를 분석하고 점검해 버그를 찾는 방식과 같다”고 설명했다.
오픈AI 대항마로 불리는 앤스로픽은 금융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앤스로픽은 지난 7월 시범 공개했던 ‘클로드 포 파이낸셜 서비스’에 6가지 금융 특화 ‘에이전트 스킬’을 선보였다. 할인현금흐름(DCF) 모델 생성, 기업 비교 분석, 실적 발표 요약, 기업 분석 리포트 작성 등에 최적화한 AI 모델이다. LSEG(런던증권거래소그룹), 무디스, 아이에라 등 금융업체와 파트너십도 공개했다. 7월 S&P 캐피털IQ, 팩트셋, 피치북 등과 협업에 이어 금융권 내 협업 상대를 빠르게 늘려가고 있는 셈이다.
구글은 AI 제미나이 사용자 확대를 위해 이통사와 손잡았다. 이날 구글은 인도 최대 이통사 릴라이언스 지오의 18~25세 가입자에게 AI 프로 요금제를 18개월 간 무료 제공한다고 밝혔다. 구글은 향후 모든 지오 가입자에게 AI 프로를 제공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미국에서 월 20달러인 서비스를 인도 내 이통 가입자에 무료 제공하는 것이다. 구매력이 낮은 인도 사용자 확보를 위해 가격을 낮추는 대신 이통사와 협상으로 사용자 기반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한 셈이다.
멘로벤처스는 올해 생성형 AI 매출이 총 138억 달러로 그 중 84억 달러가 기업용 앱인터페이스(API)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올 7월 기준 B2B API 시장 점유율은 앤스로픽 32%, 오픈AI 25%, 구글 20%로 추정했다. 2023년 점유율은 각각 12%, 50%, 7%였다. 테크계 한 관계자는 “오픈AI가 소비자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는 와중 앤스로픽은 높은 신뢰성을, 구글은 플랫폼·클라우드 경쟁력을 바탕으로 B2B 시장을 선제 공략하며 ‘내실’을 챙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공지능(AI) 전장이 사용자 확대에서 기업간거래(B2B)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다. 월 20달러 남짓 일반 구독료로는 수익성 확보가 불가능한 상황 속 AI 서비스에 거금을 지불할 기업을 붙잡아야 한다는 판단이다. 신뢰성이 생명인 B2B 분야에서는 8억 명에 달하는 사용자를 지닌 오픈AI 점유율이 급락하고, 앤스로픽·구글이 급성장하는 모습도 관찰된다.
30일(현지 시간) 오픈AI는 GPT-5 기반 보안 전문 에이전트 ‘아드바크(Aardvark)’를 공개했다. 아드바크는 프로그래밍 소스 코드를 실시간 분석해 취약성을 파악하고 해킹 가능성이 보이면 즉각 보완 패치를 제안해준다. 서버에 대한 외부 해킹을 막아서는 데 앞서, 버그를 알아서 찾아 프로그램 설계 단에서 취약점을 제거한다는 의미다. 오픈AI는 “기존 프로그램 분석 기법에 의존하지 않고 AI 기반 추론으로 코드 동작을 이해하고 취약점을 식별한다”며 “보안 연구원이 코드를 분석하고 점검해 버그를 찾는 방식과 같다”고 설명했다.
오픈AI 대항마로 불리는 앤스로픽은 금융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앤스로픽은 지난 7월 시범 공개했던 ‘클로드 포 파이낸셜 서비스’에 6가지 금융 특화 ‘에이전트 스킬’을 선보였다. 할인현금흐름(DCF) 모델 생성, 기업 비교 분석, 실적 발표 요약, 기업 분석 리포트 작성 등에 최적화한 AI 모델이다. LSEG(런던증권거래소그룹), 무디스, 아이에라 등 금융업체와 파트너십도 공개했다. 7월 S&P 캐피털IQ, 팩트셋, 피치북 등과 협업에 이어 금융권 내 협업 상대를 빠르게 늘려가고 있는 셈이다.
구글은 AI 제미나이 사용자 확대를 위해 이통사와 손잡았다. 이날 구글은 인도 최대 이통사 릴라이언스 지오의 18~25세 가입자에게 AI 프로 요금제를 18개월 간 무료 제공한다고 밝혔다. 구글은 향후 모든 지오 가입자에게 AI 프로를 제공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미국에서 월 20달러인 서비스를 인도 내 이통 가입자에 무료 제공하는 것이다. 구매력이 낮은 인도 사용자 확보를 위해 가격을 낮추는 대신 이통사와 협상으로 사용자 기반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한 셈이다.
멘로벤처스는 올해 생성형 AI 매출이 총 138억 달러로 그 중 84억 달러가 기업용 앱인터페이스(API)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올 7월 기준 B2B API 시장 점유율은 앤스로픽 32%, 오픈AI 25%, 구글 20%로 추정했다. 2023년 점유율은 각각 12%, 50%, 7%였다. 테크계 한 관계자는 “오픈AI가 소비자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는 와중 앤스로픽은 높은 신뢰성을, 구글은 플랫폼·클라우드 경쟁력을 바탕으로 B2B 시장을 선제 공략하며 ‘내실’을 챙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