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I20250228_0020716809_web_20250228131946_20251031073316064.jpg?type=w800

삼성, 중고폰 ASP '나홀로' 5% 성장…갤S시리즈 등 플래그십 수요 늘어
중고 아이폰은 여전히 고가지만…일반 모델은 감가상각 빨라지는 추세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28일 서울 서초구 삼성스토어 강남점 갤럭시 스튜디오에서 방문객들이 갤럭시 S25 시리즈를 살펴보고 있다.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가 역대 갤럭시 시리즈중 가장 빠르게 국내 100만대 판매 신기록을 달성했다. 2025.02.28. kgb@newsis.com[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삼성전자와 애플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중고 보상판매(트레이드인) 가격과 중고 제품 구매 시 평균판매가격(ASP)이 모두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에도 높은 중고 가격을 유지했던 아이폰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갤럭시 S시리즈 또한 꾸준한 운영체제(OS) 후속 지원과 인공지능(AI) 기능 등을 통해 중고폰 ASP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31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2025년 상반기 리퍼폰 시장은 큰 폭의 가격 변동성을 보였지만 ASP는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했다.

전 세계 리퍼비시(중고제품) 스마트폰의 평균판매단가는 작년 상반기 413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417달러로 소폭 올랐다. 올 1분기에는 구형 아이폰 물량 대거 유입과 신형 아이폰 공급 제한, 경쟁 심화 등으로 중국과 유럽 등 주요 시장 ASP가 하락했다. 하지만 2분기 들어 미국의 관세 부과 예상 등으로 리퍼폰 수요가 증가하면서 ASP 안정화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올해는 대부분의 주요 브랜드 중고폰 ASP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가운데 삼성전자 중고폰만 홀로 성장세를 기록했다.

1분기의 경우 대부분의 주요 브랜드들의 중고폰이 ASP 하락을 기록한 가운데 삼성전자만 3% 상승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2분기에도 상승 흐름을 이어가며 ASP 345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 대비 5%, 최고 성장률을 달성했다.

이는 갤럭시 S시리즈 등 주요 플래그십 모델에 대한 중고폰 시장의 안정적인 수요가 기여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중고폰 시장이 점차 프리미엄 플래그십 모델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규모의 중국 제조사들은 가치 하락세를 보이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주요 스마트폰 브랜드별 리퍼비시(중고) 스마트폰 소매 평균판매가격(ASP) 추이. (사진=카운터포인트리서치) *재판매 및 DB 금지애플 아이폰은 여전히 중고폰 시장에서 높은 시세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기본 모델을 중심으로 아이폰14 시리즈와 그 후속 세대의 평균 가치 보존율이 점진적인 하락 추세에 놓였다.

아이폰15 시리즈는 아이폰14 시리즈보다 짧은 기간 내 더 큰 폭의 가치 하락을 기록했으며, 이는 기본 모델에 두드러지게 적용됐다. 아이폰16 시리즈 역시 전작 대비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를 두고 카운터포인트는 소비자가 기기를 반납할 때 받는 보상판매 가치가 점차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아이폰 프로 모델의 경우 기본형과 상반되는 모습을 보였다. 감가상각 속도가 느려 전 세계 중고폰 시장에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며 오히려 높은 가치 보존율을 보였다. 다만 소비자들의 기기 사용 기간이 길어지면서 프로 모델의 공급이 제한되는 점은 시장 내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

삼성전자는 오랜 기간 구축해 온 글로벌 파트너십과 현지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브랜드 중 가장 효율적인 보상판매 생태계를 운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지난 2년 간 삼성의 갤럭시 S시리즈는 여러 리퍼폰 시장에서 삼성의 입지를 한층 강화했으며, 이는 S시리즈 기기의 가치 보존율 개선, 시장 점유율 확대 및 ASP 상승 기여 등 여러 지표로 나타났다.

카운터포인트는 신흥시장에서는 중고 아이폰이 가격 경쟁력과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는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의 첫 애플 사용자 유입 통로 역할을 하는 반면, 성숙시장에서는 기존 아이폰 사용자들의 교체 수요가 중심을 이룬다고 진단했다.

특히 삼성 리퍼비시 스마트폰의 성장세는 장기적인 보안 및 OS 업데이트 지원, 우수한 가성비, 앞선 기술력, 그리고 향후 AI 기능의 차별화 가능성에 기반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삼성의 리퍼비시 스마트폰 판매량은 향후 몇 분기 동안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