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2208275_001_20251031001411170.png?type=w800

[인더AI] “한국은 기술 혁신과 열정이 공존하는 나라"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30일 서울 강남구 깐부치킨 매장에서 열린 비공식 회동 현장에 시민들과 만나 얘기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PC 게이밍을 전 세계적 현상으로 만든 것은 바로 한국이었다. 모든 것은 한국에서 시작됐다”

엔비디아(NVIDIA)는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COEX) K-POP 광장에서 ‘지포스(GeForce) 게이머 페스티벌’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포스 한국 출시 25주년을 기념하는 자리로,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방한해 약 1만여 명의 게이머 앞에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황 CEO는 “여러분이 e스포츠를 만들었다”며 “PC 게이밍을 전 세계적 현상으로 만든 것은 바로 한국이었다. 모든 것은 한국에서 시작됐다”고 운을 뗐다. 그는 “e스포츠는 한국의 첫 번째 주요 수출품이었다”며 “지포스, PC방, e스포츠가 없었다면 오늘날의 엔비디아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제가 처음 한국에 왔을 때 엔비디아는 아주 작고 젊은 회사였다. 그러나 지금은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 중 하나가 됐다”며 “지금 이 자리에 있는 여러분이 바로 엔비디아의 역사이며, 여러분 덕분에 우리는 AI 시대를 열 수 있었다”고 말했다. 황 CEO는 “지포스 덕분에 우리는 AI를 발전시켜 CUDA를 만들었고, 이를 전 세계 과학자와 연구자에게 전달했다”고 부연했다.

황 CEO는 엔비디아의 기술 진화 과정을 회상하며 “지포스가 없었다면, AI 혁명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프로게이머가 요구한 성능을 위해 GPU를 만들었고, 그 과정에서 프로그래머블 셰이딩, G-SYNC, 저지연 리플렉스 같은 기술을 개발했다”며 “이 모든 것은 e스포츠, 그리고 한국 덕분이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한국의 기술 리더십을 높이 평가했다. “제가 처음 300Hz 디스플레이를 본 것도 바로 한국이었다. 초당 300프레임이라니, 믿기 어렵지만 그런 일은 오직 한국에서만 일어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포스를 RTX로 진화시키며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기술을 도입했고, 이는 그래픽과 컴퓨팅의 경계를 완전히 바꿨다”고 설명했다.

황 CEO는 이날 무대에서 유머러스한 발언으로 관객의 호응을 이끌기도 했다. “AI를 발전시키려면 에너지가 필요하고, 그 에너지는 치킨에서 온다”며 “한국식 프라이드 치킨이 세계 최고다. 실리콘밸리에서도 제가 가장 좋아하는 가게가 ‘99치킨’인데, 한국 브랜드 ‘구구치킨’에서 이름을 가져왔다”고 말했다.

황 CEO는 마지막으로 “한국은 기술 혁신과 열정이 공존하는 나라다. 엔비디아의 여정은 지포스에서 시작됐고, 그 중심에는 언제나 한국이 있었다”며 “앞으로도 한국과 함께 미래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지포스 체험존 ▲최신 게임 및 테크 데모 쇼케이스 ▲e스포츠 경기 ▲아티스트 공연 ▲럭키드로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엔비디아는 최신 RTX 그래픽 기반의 AI 게이밍 데모를 공개하며 차세대 GPU의 방향성을 제시했다.